지난 2월 보수 진영 단일화에 참가했던 후보들. 사진 수도권 교육감 후보 단일화 추진협의회 제공
6월 서울시교육감 선거가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중도·보수 교육감 후보들이 학생인권조례 폐지 등 ‘조희연 현 교육감 지우기’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2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교육계 등의 말을 종합하면, 현재 7명이 서울시교육감 선거 예비후보로 등록을 마쳤다. 이 가운데 보수·중도 성향을 자처하고 나선 후보들은 박선영 21세기교육포럼 대표, 조영달 서울대 사범대학 교수, 조전혁 서울시 혁신공정교육위원장, 윤호상 한양대 겸임교수,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등 5명이다. 이들은 저마다 다른 세부적인 공약을 내놓고 있지만,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함께 수월성 교육을 강조하며 진보 진영에서 추진돼온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이다.
보수 진영 후보들의 대표 공약은 학생인권조례와 혁신학교 폐지다. 조전혁 후보는 ‘조희연 심판론’을 내세우며 학생인권조례·민주시민교육·통일교육 등을 폐지하고 헌법교육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18일 기자회견에서 조 후보는 “학생인권조례는 학생들은 권리만 주장하고 그 권리에 따른 의무는 학교나 학교장, 교사가 책임지는 구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조영달 후보는 지난달 직접 학생인권조례 폐지 1인 시위에 나서며 “교권의 합리적 권위를 무너뜨려 수업 운영에 지대한 장애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낸 이주호 후보는 현재의 혁신학교가 이념에 경도된 측면이 있다며 재지정평가를 통해 기준에 미달할 경우 폐지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보수 후보들은 인수위가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기로 가닥을 잡은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외국어고 존치에도 한 목소리로 뜻을 함께했다. 다양성과 자율성 확보가 주요 이유다. 조전혁 후보는 “특목고를 설립할 때 설립자들이 수백억의 돈으로 설립을 하는데 교육감이 마음대로 폐지하는 건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주호 전 장관은 한나라당 의원 시절 직접 자사고 아이디어를 낸 장본인이기도 하다.
보수 진영은 이미 한 차례 단일화를 진행했지만 일부 후보들의 이탈과 잡음이 이어지고 새로운 후보까지 나서며 단일화에 난관을 겪는 모양새다. 보수 교육계에서는 4월 안에 재단일화를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지만 이 역시 의견이 갈린다. 기존 단일화를 통해 선출된 조전혁 후보는 “무슨 스포츠 게임도 아니고 패자부활전을 한다는 게 있을 수 있는 일이냐. 선거의 유불리를 따지기보다도 옳지 못하다”며 재단일화에 대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