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실업급여 올리되 지급조건 까다롭게 하자고요?

등록 2015-11-30 21:33수정 2015-12-01 10:18

<송곳>으로 보는 노동개편 쟁점 ⑤ 실업급여·노동시간 단축
노동 문제를 다룬 웹툰 <송곳> 중반부, 대형마트 푸르미에서 퇴사 압력을 받고 있는 황준철 주임에게 회사 쪽은 사직서를 쓰면 실업급여와 위로금을 받을 수 있게 해주겠다고 회유한다. 고민하는 황 주임에게 구고신 부진노동상담소 소장은 이렇게 말한다. “사직서 쓰고 니가 제 발로 나갔다고 회사에서 잡아떼면 어쩔 건데. 그럼 실업급여 못 받아.”

정부 “생활안정·일자리 이동 촉진”

급여수준 10%p↑·지급기간 30일↑
자격은 ‘2년간 270일 근로’로 강화
향후 몇년간 ‘특별연장근로’ 허용
2023년까지 사실상 주60시간

노동계 “문턱 높여 수급자 감소”

하한액 낮춰 인상효과 크지 않아
비정규직 등 접근 더욱 어려워져
노동시간 단축 재계눈치 보기로
‘2020년까지 연1800시간’ 합의 무력화

■ 실업급여 현재 실업급여는 노동자 본인은 계속 일하고자 하는데 회사 사정상 일을 그만뒀다고 회사 쪽에서 인정을 해줘야 받을 수 있다. ‘자발적 이직’으로 분류되면 받지 못한다.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조기재취업 수당, 직업능력개발 수당 등)으로 나뉘는데, 통상 구직급여를 실업급여라고 부르기도 한다. 구직급여는 실직 전 석달 동안 받은 세전 임금총액을 실제 노동일수(주휴일 포함)로 나눈 평균임금의 50%를 90~240일 동안 준다. 실직한 이가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때까지 구직급여는 생활을 버티는 힘이 된다.

정부와 여당은 최근 노동개편을 추진하며, 구직급여 수준을 평균임금의 60%로 높이고 지급기간도 30일 늘려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고용보험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는 현재 한국의 구직급여 수준이 너무 낮기 때문이다. 독일은 실직 전 임금의 60%를 180~720일 동안 주고, 스위스는 실직 전 소득의 80%를 260~520일, 덴마크는 평균임금의 90%를 730일 동안이나 준다. 노동계 쪽에서는 여전히 미흡하기는 하지만, 일단 구직급여 지급 기간을 한달이라도 늘린 것은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구직급여를 탈 수 있는 자격 조건을 강화한 대목이다. 지금은 실직 전 1년6개월 동안 180일 이상 일하면 되나 앞으로는 실직 전 2년 동안 270일 이상 일해야 구직급여를 주겠다는 것이다. 바뀐 기준이 적용되면, 노동자 중 6만2000명가량은 앞으로 구직급여를 탈 수 없게 될 것으로 고용노동부는 예측했다. 다만 “구직급여 지급 수준을 높이면 그전엔 구직급여 신청을 하지 않은 이들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어 실제 수급자는 4만명가량 늘어날 수 있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하지만 오건호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공동운영위원장은 “기간제노동자, 영세 자영업자 등 불안정 노동자의 실업급여 접근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고용부는 현재 4만3000원인 구직급여 하루 상한액을 5만원으로 올리고, 최저임금의 90%인 하한액 기준을 80%로 낮출 계획이다. 최저임금이 시급 6030원으로 오르는 내년부터는 하한액(6030원×8시간×90%=4만3416원)이 상한액 4만3000원보다 많아지는 모순을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야당과 노동계는 실직자한테 최소한의 생활 보장이라는 본래 구실이 유명무실해질 것이라고 반대한다.

■ 노동시간 단축 현행 근로기준법은 주당 노동시간을 40시간, 최대 연장근로시간을 12시간으로 못박고 있어 주당 총 노동시간은 52시간을 넘을 수 없다. 하지만 고용부가 “휴일근로는 연장근로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행정해석을 해온 탓에 사실상 주당 노동시간이 68시간(40시간+연장근로 12시간+토·일 휴일근로 16시간)까지 늘어나는 것이 현실이다.

정부·여당은 이번에 “휴일근로는 연장근로에 포함된다”고 못박아 주당 총 노동시간이 52시간을 넘을 수 없음을 명확히 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노동계에서도 이견이 없다. 문제는 휴일근로의 연장근로 포함은 법 개정 후 1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해 기업 규모를 기준으로 1년씩 4단계에 걸쳐 시행하고, 그 뒤에도 4년간 주당 8시간의 ‘특별연장근로’를 할 수 있도록 한 부분이다. “급격한 노동시간 단축이 중소 영세업체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는 것이 정부 쪽 논리다. 이 경우 기업들은 2023년까지 주 60시간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야당과 노동계는 “청년 일자리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려면 과감한 노동시간 단축이 필요한데 정부가 너무 재계 눈치를 보고 있다. 이대로라면 2020년까지 연간 노동시간을 1800시간으로 줄이기로 한 2010년 노사정 합의는 물 건너가게 될 것”이라고 비판한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주 52시간 상한제를 전면 적용하면 62만4000~108만명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지만, 여당안대로라면 2020년이 돼도 8만7000~17만5000명의 일자리밖에 만들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끝>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고립되는 윤석열…경찰 1천명 총동원령, 경호처는 최대 700명 1.

고립되는 윤석열…경찰 1천명 총동원령, 경호처는 최대 700명

경찰, 윤석열 체포 동원령…조폭·마약사범 잡던 베테랑 1천명 2.

경찰, 윤석열 체포 동원령…조폭·마약사범 잡던 베테랑 1천명

경호처 직원의 ‘SOS’ “춥고 불안, 빨리 끝나길…지휘부 발악” 3.

경호처 직원의 ‘SOS’ “춥고 불안, 빨리 끝나길…지휘부 발악”

“이름이 백골단이 뭡니까”…윤석열 지지자들도 빠르게 손뗐다 4.

“이름이 백골단이 뭡니까”…윤석열 지지자들도 빠르게 손뗐다

“최전방 6명 제압하면 무너진다”…윤석열 체포 ‘장기전’ 시작 5.

“최전방 6명 제압하면 무너진다”…윤석열 체포 ‘장기전’ 시작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