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에서 죽음을 가까스로 피했지만 노동력을 100% 잃은 중장해 1~3급은 1만1533명(2022년 4월 기준)이다. 이 중 20~30대 청년은 187명(1.6%)으로 2018년 12월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숨진 스물네살의 김용균처럼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무리하게 일하다가 다쳤다. 청년 산업재해는 오랫동안 살아가야 할 피해자에게도, 그들을 돌봐야 하는 가족에게도 크나큰 고통이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산재의 경영자 책임을 줄이는 방향으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시행령을 개정하겠다고 나섰다. <한겨레>가 ‘살아남은 김용균’ 187명을 기록하며 ‘일터에서 죽지 않고 다치지 않을 권리’를 다시 말하는 이유다.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비례대표)이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청년 산재 노동자 187명의 사고 경위를 한 문장으로 기록한다. 인터랙티브 페이지에서 청년들에게 벌어진 187가지의 재난을 확인할 수 있다.
<한겨레>가 만든 청년 산재 노동자에 대한 Q&A 페이지
인터랙티브 페이지에서 ‘청년산재기획 바로가기’를 누르면 청년 산재 노동자에 대한 질문과 답변(Q&A) 페이지로 이동한다. 이 페이지에는 낮은 보상금, 5인 미만 사업장, 골절 등 외상이 대부분인 청년 산재의 특징과 산재 요양 과정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다. <한겨레>가 만난 청년 산재 노동자의 이야기도 지면 연재(4회)와 연동해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살아남은 김용균들’ 전체 기사를 볼 수 있는 웹페이지(https://www.hani.co.kr/arti/SERIES/1762)도 마련했다.
▶인터랙티브 페이지는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it.ly/3AIbWzo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