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해 4월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국민적 방역 협조를 당부하는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재택치료 중이던 영유아가 잇따라 숨지자 정 부가 소아전담병상을 늘리고, 소아전문응급센터도 확대한다. 재택치료 중 응급상황 시 빠른 이송을 위해 코로나19 전문 응급의료센터도 지정한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24일 비대면 기자간담회에서 “영아는 응급상황에서 의료처치를 제대로 받지 못하면, 심각한 상황과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현재 확보된 소아청소년 전담병상은 864개(64곳)로 코로나 거점전담병원을 활용해 병상을 추가 확보하고, (이 가운데) 18개 의료기관에서 중증 소아청소년 입원치료를 전담하도록 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이어 “현재 세군데인 (코로나19)소아전문응급센터도 거점별로 더 확대하겠다”며 “낮에는 소아청소년 전문의가 재택치료 아동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밤에는 소아상담센터가 관리해 응급상황이 생기면 바로 치료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전국에 소아·청소년 진료가 가능한 상담센터는 95곳, 소아 전담 상담센터는 11곳이다.
정부는 최근 재택치료를 받던 영유아 환자가 잇따라 숨지자 이런 대책을 내놓았다. 지난 22일 생후 4개월 된 영아가 병원 이송 중 숨졌고, 같은 날 5살 아이가 재택치료 중 갑자기 증상이 악화돼 대학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이날 0시 집계한 결과를 보면 10세 미만 코로나19 누적 사망자는 5명이다. 10살 미만 사망은 2년 동안 3명에 불과했지만, 최근 일주일 사이 2명이 숨진 것이다. 코로나19가 아닌 다른 사유에 의한 사망으로 집계됐지만, 지난 18일 오후 재택치료 중이던 생후 7개월 아이가 병원 이송 중 숨지기도 했다.
영유아 확진자는 최근 증가 추세다. 이날 10살 미만 확진자는 2만4425명으로 전체 확진자(17만16명)의 14.37%를 차지했다. 13~19일 지난 1주간 하루 평균 10만명당 발생률을 보면 4∼6살은 328.9명, 7∼11살은 308.8명이었다. 같은 기간 전체 평균 발생률이 155.7명인 것과 견줘 많은 규모다.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미생물학교실)는 “소아 확진자의 경우 근처 소아과와 통화로만 해결될 일이 아닌 경우가 많다”며 “아이들은 밤에 열이 많이 나고, 상황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대면 진료와 응급 시스템 확충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은 또 재택치료자의 빠른 이송을 위해 국립중앙의료원을 컨트롤타워로 하는 ‘코로나19 응급의료 대응체계’ 개선안도 마련했다. 재택치료자의 응급치료를 위해 ‘거점전담병원에 코로나 환자 전담 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일반 응급의료기관에서도 코로나환자를 받을 수 있게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119와 응급의료기관 사이에 ‘핫라인’도 구축된다. 환자가 119를 통해 응급상황을 알리면 핫라인을 통해 정보가 공유되고 코로나 전담 응급의료센터나 일반 응급의료기관 등으로 배정되는 체계다. 권 장관은 “2월말까지 권역별로 종합병원급 거점전담병원 10곳에 코로나19 환자 전담 응급의료센터를 마련할 계획이다”며 “(재택치료 환자들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산모와 투석환자 등 특수응급환자에 대한 병상도 확충한다. 현재 82개의 분만병상이 200개로 확대되고, 확진자가 20만명 이상 발생할 경우 일반 병상에서 투석·분만·응급수술이 가능하도록 지자체별 병상 동원·지정 계획도 마련한다. 119구급대와 응급실·입원병동·병상배정반이 참여해 정보를 공유하는 ‘핫라인’도 구축한다.
재택치료자가 24시간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는 외래진료센터도 마련된다. 기존 외래진료센터는 일과시간에만 운영됐다.
한편, 권 장관은 하루 확진자가 17만명대로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오미크론을 ‘풍토병’이라 언급하는 등 낙관적인 메시지를 낸다는 지적에 대해 “오미크론 특성에 맞는 의료와 방역체계로 가야한다”면서 “다른 나라처럼 우리나라도 정점이 지난 뒤 감소할 것으로 전문가들도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메시지가 대통령 선거 등 정치적 고려를 한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현재의 조처는)오미크론 특성에 따라 지난 1월 초부터 준비해왔던 것”이라고 일축했다. 거리두기 완화 계획에 대해선 “중증화율이나 사망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검토하겠다”면서 “확진자 급증에 맞게 의료대응을 해가고, 엔데믹(주기적 풍토병화)이 이어질 때 출구전략도 같이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장현은 기자
mi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