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중장기 관리 방안 국민 공론조사에서 중간저장시설과 영구처분시설을 동일 부지에 지어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위원장 김소영)가 실시한 사용후핵연료 중장기 관리 방안 국민 공론조사에서 중간저장시설과 영구처분시설을 동일 부지에 지어 집중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선호도가 63.6%로 가장 높게 나왔다.
재검토위원회는 30일 오후 ‘KTV 유튜브’로 실시간 중계된 ‘전국 의견수렴 결과 설명 및 정책토론회’에서 이런 의견수렴 결과를 공개했다. 재검토위원회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박근혜 정부 때 수립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을 재검토하기 위해 구성한 공론조사 기구로 지난해 5월 출범해 활동해 왔다.
전국 19살 이상 국민 451명이 마지막까지 참여한 공론조사 결과,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시설과 중간저장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각각 87.9%와 75.4%로 나타났다. 중간저장시설의 설치 방안을 두고는 여러 곳에 나눠 놓기 보다는 한 곳에 설치하는 집중식 설치 방안에 대한 선호도가 74.6%였고, 영구처분시설과 중간저장시설을 동일부지에 설치하자는 의견이 82.5%로 압도적이었다.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가 지난 8월26일 유뷰브 중계를 통해 월성원전 맥스터 증설에 지역 주민 절대다수가 찬성한 것으로 나타난 월성원전 지역 공론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 제공
재검토위원회 이윤석 대변인은 “이런 의견을 기초로 시민참여단의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한 결과, ‘집중형 중간저장 및 영구처분’ 시나리오에 대한 선호도가 63.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다음은 영구처분(20.5%), 집중형 중간저장(8.2%) 순으로 집계됐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원칙에 대해서는 국민안전과 원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60.4%였으나, 원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38.6%나 됐다. 정책 결정체계에서는 국민의 적극적 참여를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63.4%로, 전문가의 의견 수용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35.8%)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재검토위원회는 이번 공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말까지 정부에 권고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재검토위원회는 이에 앞서
지난 7월에는 월성원전 지역 주민의 81.4%가 월성원전 안에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맥스터) 증설에 찬성한다는 공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이 이 결과를 두고 “공론조사가 아닌 공론조작의 결과”라는 의혹을 제기하며 조사
관련 책임자들을 검찰에 고소한 상태다.
이번 결과 발표에 대해 환경·에너지·탈핵 단체들로 구성된 고준위핵폐기물 전국회의는 “99%의 국민들이 이런 공론화가 있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한 채
엉터리로 진행된 공론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과 정치권이 나서서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 공론조작 의혹의 진상을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