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리의 별 헤는 지구]
3만여톤 줄였지만 여전히 1위인 경찰청 전문가들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더 크게 보려면, 배출량이 많은 공공기관을 집중 관리해 감축 절대량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을 하기도 합니다. <한겨레>는 환경부가 공개한 자료를 다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기관 순서로 필터링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1위는 경찰청이었습니다. 약 20만톤을 배출하고 있는데, 충청남도가 1년동안 배출한 2만톤의 10배입니다. 2위는 행정안전부, 3위는 서울시 순서였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기도, 보건복지부, 농촌진흥청, 법무부, 한국공항공사, 문화체육관광부가 상위 10곳이었습니다. 10곳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합하면 88만8212톤입니다. 전체 20%가 넘는 양입니다. 그렇다면 이들 기관은 왜 배출량이 많은 걸까요. 환경부 기후전략과 담당자는 경찰청과 행정안전부, 서울시 등이 상위 순위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담당자는 “결국 온실가스 사용량은 에너지 사용량을 의미한다. 경찰청은 경찰서와 경찰차가 많고 행정안전부는 정부 부처 모든 청사 건물이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전국 각지에 소속기관 건물이 있고 차량 이용이 많은 공공기관들은 사정이 비슷했습니다. 검찰청을 포함하는 법무부(8위), 기상청(17위), 농림축산식품부(18위), 국세청(20위)도 상위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30위, 전국의 산림을 관리하는 산림청도 26위로 순위가 높은 편입니다. 학교 건물은 각 시도교육청으로 나뉘어있어서 배출량이 분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건물·수송 부문 에너지 효율 중요해진다 결국 우리가 에너지를 적게 써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지만 업무시간을 줄일 수도 없고, 이동을 하지 않을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건물 창문을 이중으로 해 단열 효과를 높이고 등을 엘이디 전구로 바꿔 설치하는 등 건물리모델링을 하거나, 휘발유와 경유 차량을 전기차로 바꾸는 노력을 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남은 문제는 재정 투자입니다. 문재인 정부도 공공부문이 이끄는 ‘그린리모델링’과 전기차 보급·충전인프라 구축을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형뉴딜’의 핵심 그린뉴딜 사업으로 꼽았지만, 경기부양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인정하는 진정한 ‘그린뉴딜’이 되기 위해서는 이들 영역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크게 끌어올려야 할 부담이 있습니다. 정부청사노후시설 정비, 스마트 그린스쿨, 스마트 생태공장 등 그린뉴딜 사업으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지는 이유이지요. 환경부로부터 <한겨레>가 지난 8월 초 받은 답변대로면, 그린뉴딜 개별사업 210여개 중 91개만이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한계가 뚜렷합니다. 5년 동안 30조원을 들여 공공부문 그린리모델링과 전기차 보급 등에 947만톤을 포함해 총 1229만톤을 감축하는 것이 목표인데, 이는 기존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20%에 불과합니다.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은 올해와 내년 약 34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15년 이상된 노후 국공립 어린이집, 보건소와 의료시설 중심으로 이뤄질 예정입니다. 애초 그린리모델링 사업 규모는 대대적일 것으로 예고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린뉴딜 정책 자체가 축소되면서 이 역시 축소되어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정부는 어린이집과 보건소, 의료시설부터 시작한다고 하지만, 전국의 노후화된 공공 건물들을 생각할 때 갈 길은 멀기만 합니다. 호주의 경우 경찰청같은 공공기관이 친환경빌딩에만 입주하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이런 정책도 참고해볼만 합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