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이 지난달 1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철강·알루미늄 기업 임원들과 화상간담회를 갖고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EU가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법안을 발표함에 따라 우리 민관의 대응 태세를 점검하기 위해 열렸다. 연합뉴스
석탄, 석유, 원자력, 태양광, 풍력, 수소….
전통적 화석연료부터 신·재생에너지까지 에너지원은 다양하다. 각국 기후위기 대응 과정이 본격화하면서 에너지 정책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에너지 분야 조직을 개편하고 보강했다. 산업부는 3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에너지 전담 차관(2차관)을 신설하고, 그 밑에 전력혁신정책관, 수소경제정책관을 둔다고 발표했다. 전력혁신정책관 밑에는 △전력계통혁신과 △재생에너지보급과, 수소경제정책관 밑에는 △수소산업과 △원전지역협력과를 두기로 했다. 보강되는 인력은 27명이다. 이에 따라 산업부 에너지 분야 조직은 차관-1실-2국-4관-21과-1팀 총원 223명으로 확대된다.
전력혁신정책관은 탄소중립 정책과 연관된 전력 산업 전반의 혁신을 책임진다. 안정적 전력 수급을 책임지고 전력계통망 투자 등을 담당한다. 수소경제정책관은 세계 수소 시장 참여를 독려하고 관련 인프라 구축과 제도 개선 등 수소 경제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 전력계통혁신과는 전력망 인프라 확충, 재생에너지보급과는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지원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담당한다. 원전지역협력과는 원전 주변 지역 주민과의 상생, 원전의 안전한 운영과 관리 업무를 맡는다.
또 기존 에너지자원실을 에너지산업실로, 한시조직이었던 신재생에너지정책단을 재생에너지정책관으로 이름을 바꾼다. 자원산업정책관과 원전산업정책관은 자원산업정책국과 원전산업정책국으로 재편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탄소중립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새로운 국제질서이다. 이번 에너지 차관 신설과 관련 조직, 인력 보강을 통해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시스템 혁신을 가속화해 재생에너지, 수소 등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초기 에너지 분야를 담당하는 2차관 직제를 없애고 1차관 산하 에너지 자원실로 관련 업무를 이전한 바 있다. 그러나 탄소중립 대응이 중요해지면서 에너지 전담 차관 신설 등 산업부 에너지 관련 업무를 확대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지난 6월29일 국회를 통과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