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6회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참석했다. 환경부 제공
낙동강 취수원을 본류에서 지류로 다변화하는 계획이 담긴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이 환경부 주재로 열린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24일 의결됐다.
환경단체들은 “(4대강) 보 처리 없는 취수원 이전 방안은 낙동강 수질 문제를 방치하는 처사”라며 반발했다.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산하 낙동강유역물관리위는 정부세종청사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회의에는 43명 위원 중 29명이 참석했다. 이중 5명이 반대하고 나머지는 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낙동강은 대구, 경북, 부산, 경남, 구미 등 주변 지역 주민의 주요 취수원인 동시에 수질 오염도가 다른 강에 비해 높은 강이다. 이 때문에 먹는 물 확보를 둘러싼 지자체 간 갈등이 크다. 이에 환경부가 나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만들고 지난해 말 낙동강유역물관리위에 심의를 요청했다.
이날 의결된 방안에는 2028년까지 낙동간 본류 중심이던 취수원을 지류로 다변화하는 계획과 수질개선 계획이 포함됐다. 낙동강 하류 지역은 낙동강 지류인 합천군 황강 하류에서 하루 45만t, 경남 창녕군 강변여과수를 하루 45만t 취수한다. 이를 부산에 42만t, 경남 일부 지역에 48만t을 나눠 공급한다. 상류 지역은 구미 해평 취수장에서 30만t, 추가 고도 정수처리를 통해 28.8만t을 확보하고, 이를 대구에 57만t, 경북에 1.8만t을 배분한다.
이러한 계획이 시행되면 기존 낙동강 본류에 의존해 물을 공급받던 유역 지자체들은 지류에서도 물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특히 낙동강 하류 본류인 매리·물금 취수장에서 취수하던 부산은 취수원 다변화 계획이 추진되면 지류 물을 끌어오게 된다. 이에 따라 본류 물의 취수량은 절반 가량으로 줄어든다.
환경단체에선 이번 통합물관리 방안에 보 처리 계획이 빠져있다며 의결을 반대해왔다.
보 처리 없이 취수원만 지류로 이전하면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동력이 소홀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민은주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정부가 낙동강 보 처리에 대해 결단을 내려야 하는데, 그러한 결정은 없이 취수원 이전 계획만 통과시킨 것은 상당히 유감스럽다. 대통령 공약으로 내세운 4대강 재자연화를 추진할 의지가 없어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민 처장과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곽상수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는 지난 21일부터 이날까지 “보 처리 계획을 포함해 통합물관리 방안을 다시 마련하라”며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단식 농성을 진행한 바 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