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정치일반

문 대통령 현충일 추념사에 ‘북한’이 없는 이유

등록 2017-06-06 17:00수정 2017-06-06 22:03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대북 강경 메시지와 달라
“통치 수단 삼았던 이념·편가르기 정치 청산” 의지 분석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제62회 현충일인 6일 오전 서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 유공자 병실을 방문해 황의선 애국지사(93살, 6·25 참전 유공자, 무공 수훈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제62회 현충일인 6일 오전 서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 유공자 병실을 방문해 황의선 애국지사(93살, 6·25 참전 유공자, 무공 수훈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북한’이란 단어를 단 한차례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10년 동안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여전히 대치 중인 북한을 향해 강경한 ‘대북 메시지’를 던졌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3년 제58회 현충일 추념사에서 북한을 향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고립과 쇠퇴의 길을 버려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돼 남북 공동 발전의 길로 함께 나가자”고 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 추념사에선 “북한 정권은 핵과 미사일 개발을 고집할수록 국제사회의 더욱 강력한 제재와 압박에 부딪히게 될 것이며, 결국 고립과 자멸의 길로 빠져들고 말 것”이라는 강경한 목소리를 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역시 2008년 취임 뒤 첫 현충일 추념사에서 북한을 향해 국군포로와 이산가족, 납북자 문제를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협력해달라고 촉구했다. 특히 임기 마지막 해 현충일엔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 이후 국외동포 젊은이들의 자원 입대 사례 증가를 언급하며 “대한민국 헌정 질서를 파괴하려는 사람도 있지만, 전쟁이 나면 최전선에서 싸우겠다는 젊은이들도 많다”고 강조하는 등 국내의 정치 상황과 북한을 연관시키기도 했다.

두 전임 대통령들과는 달리 문 대통령이 추념사에서 북한을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것은 “전쟁의 경험을 통치수단으로 삼았던 이념의 정치, 편가르기 정치를 청산하겠다”는 이날 메시지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게 청와대 쪽 설명이다. 또한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 등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임을 고려한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추념사에 대북 메시지를 포함할 경우, 한반도에서 전쟁의 재발을 막고 전쟁의 상처 극복을 위해서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필요성을 언급했어야 하는데, 현재 시점에서 부적절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정애 김지은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속보] 한동훈, 내일 당대표 사퇴 기자회견 하기로 1.

[속보] 한동훈, 내일 당대표 사퇴 기자회견 하기로

국힘, 정권 ‘넘길 수 없다’는 오만함…권력 선출하는 국민 모독 2.

국힘, 정권 ‘넘길 수 없다’는 오만함…권력 선출하는 국민 모독

이재명 ‘국정 안정 협의체’ 제안…“한덕수 탄핵 않기로” [영상] 3.

이재명 ‘국정 안정 협의체’ 제안…“한덕수 탄핵 않기로” [영상]

이재명이 두려운가, 그보다 보수가 나라 위해 진정 해야 할 일은 4.

이재명이 두려운가, 그보다 보수가 나라 위해 진정 해야 할 일은

한동훈 “내가 투표했나”…국힘 탄핵가결 공방 격랑 속으로 5.

한동훈 “내가 투표했나”…국힘 탄핵가결 공방 격랑 속으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