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뢰 폭발’ 부실 대처 비판 확산
정부의 ‘안보 무능’을 성토하는 정치권 주요 발언(13일)
‘안보라인 책임론’ 제기 잠잠했던 계파갈등도 재돌출
이정현, 청 비판 유승민 겨냥
“아군진지에 설탄 쏘아대” 야 “청, 세월호·메르스 이어
안보에서도 역할 못해”
진상규명 청문회 요구 ‘안보라인 책임론’으로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이후 잠잠하던 계파 갈등도 다시 불거지는 모양새다. 친박근혜계 핵심인 이정현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지금은 아군진지에 설탄(舌彈)을 쏘아대는 것(시점)은 아니다”고 쏘아붙였다. 이 발언을 두고 전날 국회 국방위에서 김관진 국방장관을 향해 부처간 엇박자와 늑장 대처를 지적하며 “정신 나간 짓 아니냐”고 직격탄을 날린 비박계 유승민 의원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이에 대해 김무성 대표는 ‘군당국 책임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비판) 타이밍을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은 있을 수 있으나 (정부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지 못한다면 (국회의) 기능이 아니다”라며 이 최고위원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야당은 컨트롤타워 기능 부재에 집중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에 이어 청와대는 안보에서도 컨트롤타워 역할을 못했다”며 “국방부, 청와대, 통일부가 다 따로노는 이런 수준의 안보 시스템으로는 대한민국을 지켜낼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야당 국방위원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청문회 개최를 주장했다. 이들은 청문회를 통해 밝혀야 할 최대 의문점으로, ‘청와대가 북한 도발 가능성을 최초 판단한 시점’이 갑자기 바뀐 경위를 들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전날 국회 국방위에 출석해 이 시점을 “(사건이 발생한) 4일 밤이다. 상부에 다 보고됐다”고 했지만, 청와대가 곧바로 “다음날(5일) 오후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이 보고했다”며 이를 부인했다. 그러자 국방부는 곧바로 “장관의 단순 착오다. 국방부 입장도 청와대 설명과 동일하다”고 말을 바꿔 국방부가 청와대 눈치를 보며 ‘거짓 해명’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이밖에 국방부 장관이 중차대한 북한의 도발을 박 대통령에 대면보고 하지 않은 경위 등도 문제삼고 있다. 서보미 이승준 기자, 박병수 선임기자 spr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