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해킹 프로그램 구입과 관련해 유서를 남기고 숨진 채 발견된 임아무개(45)씨와 관련해, “고인의 죽음으로 증언한 이 유서 내용은 글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추가적 의혹 제기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국정원은 19일 저녁 ‘동료 직원을 보내며’라는 제목으로 낸 ‘직원 일동’ 명의의 보도자료를 통해, “이 직원(임씨)은 유서에서 ‘정말 내국인에 대한, 선거에 대한 사찰은 전혀 없었다’고 분명히 밝혔다”며 “그가 자신을 희생함으로써 지키고자 했던 가치를, 국가안보의 가치를 더이상 욕되게 해서는 안 될 것이며, 결과에 대해 책임 또한 따라야 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국정원은 이어 “사이버 작전은 극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매우 민감한 작업이다. 국가안보를 지키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대상으로만 조심스럽게 사용하고 있다”며 “일부 정치인들은 이런 내용을 모두 공개하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인 사찰 가능성 등을 묻고 있는 야당의 문제 제기에 대한 반발을 시사한 것으로 읽힌다. 국정원은 “이는 근거 없는 의혹을 입증하기 위해 국정원이 더 이상 정보기관이기를 포기하라는 요구와 같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이탈리아 해킹팀사로부터 같은 프로그램을 35개국 97개 기관이 구입했다. 이들 기관들은 모두 ‘노코멘트’ 한마디로 대응하고 이런 대응이 아무런 논란 없이 받아들여졌다”며 “자국의 정보기관을 나쁜 기관으로 매도하기 위해 매일 근거 없는 의혹을 경쟁적으로 쏟아내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다”고 항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죽음을 정치적 공세를 이어가는 소재로 삼는 개탄스런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북한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엄혹한 현실을 도외시하고 외교적 부작용이 발생해도, 국정원이 약화되어도 상관없다는 위험하고 무책임한 발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또 국정원은 “드러난 사실은 댓글사건이 있었던 해인 2012년 국정원이 이를 구입했다는 사실밖에 없고 나머지는 모두 그럴 것이라는 추측성 의혹뿐”이라며 “그런데도 10일 넘게 백해무익한 논란이 지속되면서 국정원은 불가피하게 해명에 나서야 했고, 그 과정에서 정보 역량이 크게 훼손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