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정보분실로 갖고온 자료
최·한 경위가 복사해 유출 추정
조응천이 유출경위서 만들 당시
박 경정 자신의 진술과 또 달라
언론유출 다른 과정 있는지 의문
최·한 경위가 복사해 유출 추정
조응천이 유출경위서 만들 당시
박 경정 자신의 진술과 또 달라
언론유출 다른 과정 있는지 의문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근무했던 박관천 경정이 지난 2월 초 라면 상자 두개 분량의 청와대 문건을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로 옮겨뒀다고 검찰에서 진술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청와대 문건의 청와대 밖으로 ‘반출 경로’는 윤곽이 드러났다. 그러나 검찰이 이 문건들을 언론사·대기업에 유출한 이들로 지목한 경찰 중 한명인 최아무개 경위가 ‘억울하다’며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문건의 추가 ‘유출 경로’는 다시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문건의 최초 반출자인 박 경정의 의심스런 행동들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14일 검찰에 따르면, 박 경정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청와대에서 경찰로 복귀하기 전 한꺼번에 출력한 수백건의 문건을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로 옮겨뒀다”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 청와대 문건 반출 이유로는 자신의 업무(정보)와 관련돼 계속 참고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박 경정의 주장이다.
하지만 박 경정은 지난달 28일 ‘정윤회 문건’ 보도 직후 ‘박 경정이 청와대 문건을 박스째 반출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자, 기자들에게 “보고서는 유출된 게 아니라 청와대 근무 당시 도난당한 것”이라고 거짓 주장을 했다. 박 경정은 이어 “누군가가 서랍을 열고 문서를 모두 복사했으며, 관련 증거를 갖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당시 박 경정이 언급한 ‘관련 증거’란, 유출 문건을 갖고 있던 <세계일보> 기자와 서울청 정보1분실 최 경위의 녹취록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은 지난 6월 청와대에 문건 유출 사실을 알리면서 문건 사본 100여장과 유출 경위서, <세계일보> 기자와 최 경위의 대화 녹취록 등을 건넸다고 밝힌 바 있다. 유출 경위서는 ‘경찰에서 파견된 민정수석실 소속 직원이 문건을 빼돌렸고, 대검 수사관을 거쳐 <세계일보> 기자에게 문건이 흘러들어갔다’는 내용인데, 첨부된 녹취록도 경위서를 뒷받침하는 내용일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까지 확인된 검찰 조사 결과에 비춰보면, 당시 청와대에 전달된 유출 경위서는 박 경정의 문건 반출 사실을 숨기려는 의도가 담긴 거짓 정보가 되는 셈이다.
함께 제출된 녹취록도 박 경정 등이 꾸며낸 것으로 의심할 만한 정황들이 드러나고 있다. 녹취록은 <세계일보> 기자가 숨진 최 경위와 저녁식사를 하면서 나눈 대화를 녹음한 것인데, 박 경정이 <세계일보> 기자에게 최 경위와의 저녁 밥값용으로 76만원을 송금했다고 한다. 박 경정은 “문건이 <세계일보>로 흘러들어간 것을 알고 기자에게 출처를 조사해 달라고 부탁하면서 정보비 명목으로 돈을 건넸다”고 검찰에 진술했지만, 신빙성은 낮아 보인다. 박 경정 말대로라면, 문건을 입수한 당사자인 <세계일보> 기자는 취재원을 보호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문건의 출처 조사에 협조하고 출처가 드러날 수 있는 대화를 녹취해 박 경정에게 전달했다는 뜻이 된다. 이에 대해 <세계일보>쪽은 "최 경위와 저녁 자리에서 녹음을 한 사실도 없고, 녹취록을 박 경정에게 전달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현재 검찰은 박 경정이 반출한 문건들 안에 박근혜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이지(EG) 회장에 대한 부정적 내용을 담은 ‘박지만 문건’과 박근혜 정부 ‘비선 실세’로 지목된 정윤회씨에 대한 뒷조사 내용이 담긴 ‘정윤회 문건’이 같이 포함돼 있던 것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청와대에서 서울청 정보1분실로의 ‘반출’뿐 아니라 서울청 정보1분실에서 언론사 등으로의 ‘유출’에도 박 경정이 주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