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압행위 없었다”
“수사중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고 유감으로 생각하며 고인의 명복을 빈다. 수사 과정에서 어떠한 강압행위나 위법한 일은 없었음을 밝힌다.”
13일 오후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 최아무개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실이 알려진 뒤 ‘정윤회 국정 개입 보고서’ 수사팀은 “유감”이라면서도 수사 과정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올해 주요 수사에서 피의자들이 잇따라 자살해 검찰 내부적으로는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올해 2월 산학협력단 인건비 등 10억원을 가로챈 혐의로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문홍성) 수사를 받던 한국예술종합학교 이아무개 교수가 전남 여수 앞바다에서 투신자살했다. 이씨는 구속영장이 청구돼 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있었다. 6월에는 한국철도시설공단 수도권본부 간부 이아무개(51)씨가 “검찰이 더 큰 것을 요구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어 강압 수사 논란이 일었다.
7월에는 납품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김후곤)의 수사선상에 오른 김광재 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이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한강에 투신했다. 8월에는 화물차 불법 증차 비리 의혹에 연루돼 광주지검의 수사를 받던 광주경찰청 소속 경감이 결백을 호소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달에는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의 케이비(KB)금융 통신인프라 고도화사업 관련 납품 비리 수사로 본사 압수수색을 당한 윤의국(65) 고려신용정보 회장이 한강에 투신했다가 구조됐다. 윤 회장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뒤 체포돼 현재 구속 수사를 받고 있다.
자살하거나 자살을 시도한 피의자들이 주로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의 수사 대상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이번에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임관혁)의 수사를 받던 최 경위가 자살함에 따라, 대검 중수부가 폐지된 뒤 위상이 더 높아진 서울중앙지검 특수1~3부 모두 수사 중에 피의자가 자살한 ‘기록’을 남기게 됐다.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과 두 명의 자살을 불러온 ‘관피아’ 수사 모두 청와대의 적극적 지시·수사의뢰로 시작된 수사라는 점도 공통점이다.
지난 10월 이상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검찰 수사를 받다 숨진 피의자·참고인은 최근 5년간 55명에 이르렀다. 2010년 9명, 2011년 14명, 2012년 10명, 2013년 11명이었는데, 올해는 7월까지만도 11명이 숨졌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