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권한대행(왼쪽)이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비상회의에서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7·30 참패 야당 어디로
③ 지금 새정치 무슨 고민을 하나
③ 지금 새정치 무슨 고민을 하나
“‘보라매 향우회’ 지칭 곱씹어봐야”
노령화·당원부족·활동미비 공감 “공동체 활동서 당 정체성 찾아야”
“SNS 기반 온-오프 정당이 대안”
탈계파·공천제도 정비 등 과제로 혁신을 향한 새정치연합의 고민은 ‘체질개선’으로 요약된다. 한 당직자는 “사람으로 치면 피가 돌지 않아 반신이 마비된 노인”이라고 표현했다. 현재 새정치연합 당원은 200만여명이다. 이 중 최소 6개월 동안 당비 월 1000원을 낸 ‘권리당원’은 15만여명을 차지한다. 이들이 바로 선거 때 필요한 ‘조직’이지만 새정치연합은 당원 데이터베이스 관리도 제대로 못하고 있다. 조직국의 한 관계자는 “200만여명 중 20~30대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잘 모른다”고 말했다. 한 당직자는 “동원하려고 해도 동원할 사람이 없었다. 이렇게 선거를 치렀다는 게 놀랍다”고 말했다. 당료 출신인 진성준 의원은 “1987년 김대중 대선 후보가 보라매공원에서 집회할 때 지구당 여성부장 하던 사람이 지금도 지역위원회 여성위원장을 하고 있다. 디제이(DJ) 때 당원에서 별로 확대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 재선 의원은 “서울 동작을 선거는 그 한계를 여실히 보여줬다. 보궐선거 특성상 호남향우회를 기반으로 조직을 모아보려 했지만 선거운동원 구하기도 어려웠다. 향우회원들 대부분이 이미 60대가 넘었다”고 말했다. 의원들은 풀뿌리 당원조직에 새 당원들을 끌어와야 한다고 말한다. 진 의원은 “협동조합, 마을공동체 등 작지만 우리 사회를 바꾸는 활동들을 당원 중심으로 이뤄지도록 지원하면서 당 정체성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상호 의원은 “지역위원회를 봉사·서비스·교육 등 공적 기능을 하는 조직으로 바꿔야 한다. 당이 현장의 국민들을 도와줄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며 “차라리 당직자들이 은행처럼 창구에 앉아 국민들의 민원을 받아 이를 구체적인 의정 활동으로 해결하는 게 어떠냐”고 말했다. 김기식 의원은 “지역위원회뿐 아니라 세대·계층·직능·생활 단위로 확대해서 중층적인 당원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 당원’도 고려 대상이다. 최민희 의원은 “지난 대선 경선 때 국민참여형 모바일 경선에 참여한 이들 중 일부라도 당원으로 만들어야 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기반으로 국민참여형 온오프정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7·30 재보선의 패인인 공천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도 고민이다. 일단은 민주적인 제도 정비가 기본이다. 기존엔 전략공천 최고 의결기구가 당무위원회였지만 이번엔 최고위원회로 끝났다. 한 의원은 “최고위 상급 기구인 당무위원회가 구성됐더라면, 비리 전력이 있는 서갑원 의원이나 보은공천 논란이 일었던 권은희 의원 공천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정 의원은 “공천 표준안을 만들어서 누가 당 지도부가 되더라도 그 원칙에 따라 공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이 진보개혁 진영의 맏형이 되기 위해선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원혜영 의원은 “새정치연합 산하 민주정책연구원을 진보진영의 대표 싱크탱크로 키워야 한다. 역량있는 학자들을 대거 채용해 지식과 정책을 생산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