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회 지방선거 시간대별 투표율
[6 ·4 민심] 지방선거 역대 두번째
공간제약 완화…참여취약층 투표↑
역대 2~5회 평균보다 높아
공간제약 완화…참여취약층 투표↑
역대 2~5회 평균보다 높아
기대했던 ‘60% 투표율’은 실현되지 않았다. 하지만 56.8%라는 잠정 투표율 자체로도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라는 데 전문가들 의견은 일치했다. 사전투표율 11.49%가 전체 투표율의 상승으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적극적 투표참여층의 상당수가 사전투표에 참가했을 것으로 추정하면 ‘56.8’은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라는 얘기다.
사전투표가 전체 투표율을 얼마나 높였는지에 대해선 조금씩 의견이 엇갈렸다. 하지만 3~4%포인트 정도의 투표율 제고 효과는 있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투표일을 이틀 늘리는 효과에 더해, 투표 참여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완화시켜 참여 조건이 취약한 집단의 투표율을 높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높은 투표율의 원인을 사전투표 도입으로만 돌려서는 안 된다는 견해도 만만찮다. 한귀영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설사 투표율이 50%대 초·중반에 그쳤어도 결코 낮다고 평가해선 곤란하다”고 말했다. 쟁점과 구도가 명확해 투표 참여 의지가 높았던 2010년 지방선거 투표율(54.5%)을 투표율 평가의 기준선으로 삼아선 안 된다는 것이다. 역대 지방선거(2~5회)의 투표율 평균은 51.6%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사전투표와 함께 세월호 참사를 투표율 상승의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세월호 참사의 발생과 수습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무능·무책임이 야권 지지층과 부동층 유권자들에게 참여 동기를 만들어줬다”고 분석했다. 윤희웅 ‘정치컨설팅 민’ 센터장도 “세월호 참사 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적 투표 의향층이 늘었다”며 “정권 심판 정서가 만들어진 것이 투표율을 견인하는 효과를 발휘했다”고 진단했다. 윤 센터장은 또하나의 요인으로 인구 구성비의 변화를 지목했다. “인구의 노령화가 (투표 참여도가 높은) 노년층을 증가시켜 투표율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발휘했다”는 것이다.
‘격전지 효과’도 있었다. 부산·광주·대구 등 지역 연고 정당의 후보가 독주하던 곳에 경쟁력이 강한 무소속 후보가 출마해 캠페인 기간 내내 ‘시소게임’을 벌인 것이 선거에 대한 관심과 투표 참여에 따른 효능감을 높여 더 많은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이끌어 냈다는 것이다. 실제 부산의 투표율(56.6%)은 지방선거 역대 평균 투표율(46.6%)보다 10%포인트 높았다. 57.1%를 기록한 광주 투표율은 역대 평균(45.9%)을 무려 11.2%포인트나 상회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