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시행…투표율 높일듯
6·4 지방선거는 투표할 수 있는 날이 사흘이다. 6월4일에 투표할 수 없는 유권자들을 위해 5월30~31일(오전 6시~오후 6시) 이틀 동안 ‘사전투표’가 치러지기 때문이다. 지난해 4·24 재보궐선거 때 도입된 사전투표는 이번 선거에서 전국 단위로는 처음으로 실시된다.
사전투표는 투표 전에 신고를 해야 하는 부재자투표와 달리, 별도의 신고 절차가 필요 없다.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읍·면·동 자치센터마다 1곳씩 설치된 투표소에서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다. 주소지 밖에 있는 투표소를 이용하는 유권자들은 투표지를 회송용 봉투에 넣어 투표함에 넣으면 자신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선관위로 전달된다.
사전투표는 투표율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부재자투표보다 간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1년에 치러진 재보궐선거 때 부재자투표는 전체 투표의 3.26%를 차지했지만, 2013년 두차례 치러진 재보선의 평균 사전투표율은 17.88%에 이르렀다. 투표율도 많이 높였다. 지난해 10·30 재보선 투표율은 41.3%였다. 2000년 이후 치러진 재보궐선거 투표율이 평균 34.9%였던 데 비하면 6.4%포인트 높은 수치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사전투표 홍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용진 홍보위원장은 “사전투표는 바쁜 사람들, 출장 등으로 동선이 긴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노년층보다는 젊은층이 사전투표를 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13일 사전투표 태스크포스를 꾸린 새정치연합은 ‘세번의 기회’라는 이름을 붙이고 사전투표 홍보에 나섰다. 새정치연합은 또한 이날 대학 등에 사전투표소를 더 늘려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선관위는 “사전투표소를 늘리자는 의견에 대하여는 원칙적으로 공감한다. 하지만 사전투표소를 설치하려면 보안성이 높고 안정성이 검증된 국가통신망이 있는 읍·면사무소와 동 주민센터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선거법 개정으로 인해 정당이나 후보자는 사전투표 홍보를 직접 할 수 없지만, 개인·단체는 현수막 등을 통해 사전투표를 알리는 게 가능하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6·4 전국동시 지방선거를 앞두고 13일 오후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이 사전투표를 알리는 홍보 포스터를 정리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