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11월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와 박근혜. <한겨레> 자료사진
2012 대선주자 탐구 박근혜 ②
영남대·재산·정치자금 논란
영남대·재산·정치자금 논란
박근혜의 과거 행적에는 정수장학회 외에도 몇 가지 논란이 되는 대목이 있다. 영남대 문제, 성북동 사저와 청와대 비밀금고에 있던 6억원을 무상으로 받고 한나라당 복당 뒤 2억원을 받은 일 등이다.
박지만 항공료·육영재단 출연등
“경영진이 판단한 일” 비켜가기
■ 영남대 논란
영남대는 1950년 설립된 청구대와 1947년 설립된 대구대를 통합해 1967년 박정희가 설립했다. 자신은 전면에 나서지 않았고, 당시 비서실장이었던 이후락 등이 이사로 학교 통폐합을 주도했다. 청구대는 재단 경리직원의 비리 사건과 신축중이던 교사 붕괴 사건이 일어나자 재단 이사회가 설립자를 배제한 채 의결해 박정희에게 헌납했고, 대구대는 당시 위탁 경영을 맡고 있던 고 이병철 삼성 사장이 사카린 밀수 사건이 터진 뒤 역시 박정희에게 헌납한 학교다. 영남대는 이동녕 전 공화당 의원과 이효상 전 국회의장이 초대와 2대 이사장을 맡았고, 10·26 다음해인 1980년 4월 박근혜가 29살의 나이로 3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이사로 선임된 지 한달 만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이를 반대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이는 등 반발이 커지자 그해 11월 이사장직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사직은 유지하면서 1983년 동생 박근령을 이사로 앉히는 등 실질적인 영향력을 이어갔다. 박근혜가 이사로 있던 1981년 이사회는 영남학원 정관 1조에 ‘교주 박정희’를 넣어 ‘이 법인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교주 박정희 선생의 창학정신에 입각하여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개정했다. 이 조항은 지난해 ‘교주 박정희’가 ‘설립자 박정희’로만 바뀐 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988년 민주화 바람이 불면서 재단 이사진은 총학생회, 교수협의회로부터 전면 퇴진 요구를 받게 된다. 부정입학, 재단 부동산 처분, 장학금 비리, 산하 영남투자금융, 영남의료원 비리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2007년 경선 청문회에서 “부정입학 등 입학에 관한 것은 전부 학사이기 때문에 총장 책임 하에서 하는 것이지, 다른 사람이 그런 것에 관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모르는 일이며 당시 총장이 책임질 일”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나 ‘4인방’ 가운데 한명으로 꼽힌 영남대 사무부처장이던 곽완석의 판결문에는 부정입학이 재단으로부터의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온다. 이후 20년 동안 관선이사 체제가 유지되다 2009년 재단 정상화 과정에서 박근혜가 다시 전면에 등장한다.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설립자 유족’ 자격으로 박근혜에게 이사 7명 가운데 4명의 추천권을 준 것이다. 이사장인 우의형(64) 전 서울행정법원장도 박근혜가 추천한 인물이다. 이후 지난해 10월에는 영남대에 ‘박정희 정책 새마을대학원’이 설립됐다. 2007년 한나라당 경선 청문회에서는 1986년 영남대병원장의 해외출장비 280만여원이 박지만의 미국행 항공료로 사용됐고, 당시 병원장이 주치의 자격으로 미국까지 동행한 사실이 지적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그때는 몰랐다. 이번에 검증위에 소명자료를 내면서 동생에게 알아봤더니, 그때 그런 일이 있었다고 했다. 그때 동생이 모처럼 유학을 간다고 하니까 누나로서 할 수 있는대로 챙겨주고 그랬는데, 병원장이 동행한 것도 주치의 차원이 아니라 그때 동생이 충격에서 안정이 안돼 있는 상황에서 보호자로 같이 간 것 아닌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또 박근혜가 87년 7월 대만 문화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는 과정에서 박정희기념관 건립기금 중 800여만원이 기부금으로 출연됐고, 대만 출장비가 영남대에서 지급이 된 점도 지적됐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영남대와 대만 문화대는 75년부터 자매결연을 맺고 서로 교류도 하고, 설립자도 방문하고, 학술 연구도 같이 하고 이런 교류가 있어서 서로 지원도 하고 이런 차원에서 있을 수는 있겠지만, 그게 무슨 기부금을 냈다는 것은 저는 모른다”고 답변했다. 이 밖에 영남의료원은 1986년 육영재단에 3740만원을 기부했으며, 영남투자금융은 육영재단에 1억3000만원을 기부하는 한편 이 재단에서 발간하는 어린이잡지 <어깨동무>, <보물섬> 등에 광고료로 2700만원을 지급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제가 기부를 하라고 강요한 적은 없다. 경영진에서 판단해서 한 것으로 안다. 제가 (육영재단) 이사장이라는 것도 배려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10·26뒤 전두환에 6억 증여받고
성북동 집 비용도 누군가 대줘 ■ 재산의 모태는 무상증여
박근혜의 올해 재산등록액은 21억8104만원이다. 현재 살고 있는 강남구 삼성동 단독주택(317.85㎡)이 19억4000만원으로 재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이 재산의 모태는 세금도 내지 않은 증여로 일궈졌다. 1979년 10·26 뒤 동생들과 함께 신당동 집으로 돌아간 박근혜는 1982년 성북동 주택으로 이사했다. 1984년 이 집을 팔아 장충동으로 이사했고, 다시 1990년 삼성동으로 옮겼다. 이 과정에서 판 집과 산 집의 가격 차이는 크지 않았다. 살던 집을 판 돈으로 새 집을 산 셈이다. 신당동 집은 박정희기념사업회에 기증된 상태다. 고급주택가에 위치한 성북동 집은 당시 경남기업 신기수 회장이 지었다. 신 회장은 영남대, 육영재단, 정수장학회 등에서 운영위원이나 이사를 역임했다. 등기부등본에는 신 회장이 박근혜에게 이 집을 판 것으로 돼 있다. 이와 관련해 신 회장은 2007년 <신동아> 인터뷰에서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표가 살 집을 지어달라고 내게 말했다. 정확하게는 전두환 사령관이 대통령직에 오르기 전에 지시를 받았다”며 “돈 받고 지었으며, (공사비는) 누가 줬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2007년 경선 청문회에서 “부모님의 유품을 정돈도 하고 그럴 필요성이 생겼는데 신당동 집이 좁아서 꼼짝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 사정을 알고 당시 신 회장이 ‘아버지와 인연이 있던 분이니, 좀 도와주겠다는 생각으로 성북동에 집을 마련했으니까, 거기에 유품도 다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이사를 가면 어떻겠느냐’는 제의가 있어서 받아들인 것”이라고 밝혔다. 증여세 납부 여부에 대해서는 “그때 법적으로 세금 관계나 모든 것을 알아서 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믿고 맡겼다”고 답변했다. 또 박근혜는 10·26 직후 전두환으로부터 청와대 비밀금고에 있던 9억원 가운데 6억원을 무상으로 받았다. 박정희가 격려금이나 촌지 등을 줄 때 이용했던 금고다. 나머지 3억원에 대해서는 “박근혜가 10·26 뒤 당시 전두환 합수본부장으로부터 9억원을 받아 3억원을 김재규 사건 수사 격려금으로 되돌려 줬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박근혜는 경선 청문회에서 “처음부터 6억원만 받았으며, 3억원을 수사 격려금으로 돌려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전두환 전 대통령 쪽에서 심부름 왔다는 분이 만나자고 해서 청와대 비서실장실 쪽으로 갔다. 거기서 저에게 봉투를 전해주면서 ‘박 대통령이 쓰시다 남은 돈이다. 아무 법적인 문제가 없으니까, 지금 생계도 막막하니까, 생계비로 쓰라’고 전해줘서 감사하게 받고 나왔다”는 것이다. 당시 6억원은 소비자물가상승률로 계산했을 때 현재 38억여원의 가치다. 한나라당 복당뒤 받은 2억도
“당이 영수증 처리 말라 했다” ■ 한나라당 복당 뒤 2억원 받아
2004년 대선자금을 수사하던 검찰은 한나라당이 받은 불법 대선자금 가운데 2억원이 박근혜에게 전달된 사실을 확인했다. 박근혜가 대선 직전인 2002년 11월26일 김영일 당시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부터 1억원을 받고, 12월7일 다시 1억원을 수표로 받은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박근혜는 2002년 2월 이회창 총재를 비판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해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했다가 그해 11월19일 복당한 뒤 같은 달 25일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됐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당시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된 뒤 충청권과 강원도에서 후보와 따로 유세를 하며 활동비로 받은 것으로, 식사비 등으로 썼다”고 해명했다. 돈 사용처를 영수증 처리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이 돈을 영수증 처리를 했으나 당에서 하지 말라고 해 그 뒤로는 안 했다”고 말했다. 김인현 기자 inhyeon@hani.co.kr ▷ 2012 대선주자 탐구 기획연재 보기
■ 도전수퍼모델3 제작발표회 <한겨레 인기기사>
■ 제주 올레길 살해범 변태 행각 했었다
■ 검찰, 박지원 체포영장 30일 청구할 듯
■ 아들·딸 성적 위조한 엄마 징역 42년?
■ 이대호, 시즌 16호 투런포 작렬…홈런 단독 선두
■ [화보] 해운대는 물반 사람반
“경영진이 판단한 일” 비켜가기
경북 경산 영남대 모습(위), 서울 중구 신당동 박정희 저택(아래)
영남대는 1950년 설립된 청구대와 1947년 설립된 대구대를 통합해 1967년 박정희가 설립했다. 자신은 전면에 나서지 않았고, 당시 비서실장이었던 이후락 등이 이사로 학교 통폐합을 주도했다. 청구대는 재단 경리직원의 비리 사건과 신축중이던 교사 붕괴 사건이 일어나자 재단 이사회가 설립자를 배제한 채 의결해 박정희에게 헌납했고, 대구대는 당시 위탁 경영을 맡고 있던 고 이병철 삼성 사장이 사카린 밀수 사건이 터진 뒤 역시 박정희에게 헌납한 학교다. 영남대는 이동녕 전 공화당 의원과 이효상 전 국회의장이 초대와 2대 이사장을 맡았고, 10·26 다음해인 1980년 4월 박근혜가 29살의 나이로 3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이사로 선임된 지 한달 만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이를 반대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이는 등 반발이 커지자 그해 11월 이사장직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사직은 유지하면서 1983년 동생 박근령을 이사로 앉히는 등 실질적인 영향력을 이어갔다. 박근혜가 이사로 있던 1981년 이사회는 영남학원 정관 1조에 ‘교주 박정희’를 넣어 ‘이 법인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교주 박정희 선생의 창학정신에 입각하여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개정했다. 이 조항은 지난해 ‘교주 박정희’가 ‘설립자 박정희’로만 바뀐 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988년 민주화 바람이 불면서 재단 이사진은 총학생회, 교수협의회로부터 전면 퇴진 요구를 받게 된다. 부정입학, 재단 부동산 처분, 장학금 비리, 산하 영남투자금융, 영남의료원 비리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2007년 경선 청문회에서 “부정입학 등 입학에 관한 것은 전부 학사이기 때문에 총장 책임 하에서 하는 것이지, 다른 사람이 그런 것에 관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모르는 일이며 당시 총장이 책임질 일”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나 ‘4인방’ 가운데 한명으로 꼽힌 영남대 사무부처장이던 곽완석의 판결문에는 부정입학이 재단으로부터의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온다. 이후 20년 동안 관선이사 체제가 유지되다 2009년 재단 정상화 과정에서 박근혜가 다시 전면에 등장한다.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설립자 유족’ 자격으로 박근혜에게 이사 7명 가운데 4명의 추천권을 준 것이다. 이사장인 우의형(64) 전 서울행정법원장도 박근혜가 추천한 인물이다. 이후 지난해 10월에는 영남대에 ‘박정희 정책 새마을대학원’이 설립됐다. 2007년 한나라당 경선 청문회에서는 1986년 영남대병원장의 해외출장비 280만여원이 박지만의 미국행 항공료로 사용됐고, 당시 병원장이 주치의 자격으로 미국까지 동행한 사실이 지적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그때는 몰랐다. 이번에 검증위에 소명자료를 내면서 동생에게 알아봤더니, 그때 그런 일이 있었다고 했다. 그때 동생이 모처럼 유학을 간다고 하니까 누나로서 할 수 있는대로 챙겨주고 그랬는데, 병원장이 동행한 것도 주치의 차원이 아니라 그때 동생이 충격에서 안정이 안돼 있는 상황에서 보호자로 같이 간 것 아닌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또 박근혜가 87년 7월 대만 문화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는 과정에서 박정희기념관 건립기금 중 800여만원이 기부금으로 출연됐고, 대만 출장비가 영남대에서 지급이 된 점도 지적됐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영남대와 대만 문화대는 75년부터 자매결연을 맺고 서로 교류도 하고, 설립자도 방문하고, 학술 연구도 같이 하고 이런 교류가 있어서 서로 지원도 하고 이런 차원에서 있을 수는 있겠지만, 그게 무슨 기부금을 냈다는 것은 저는 모른다”고 답변했다. 이 밖에 영남의료원은 1986년 육영재단에 3740만원을 기부했으며, 영남투자금융은 육영재단에 1억3000만원을 기부하는 한편 이 재단에서 발간하는 어린이잡지 <어깨동무>, <보물섬> 등에 광고료로 2700만원을 지급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제가 기부를 하라고 강요한 적은 없다. 경영진에서 판단해서 한 것으로 안다. 제가 (육영재단) 이사장이라는 것도 배려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성북동 집 비용도 누군가 대줘 ■ 재산의 모태는 무상증여
박근혜의 올해 재산등록액은 21억8104만원이다. 현재 살고 있는 강남구 삼성동 단독주택(317.85㎡)이 19억4000만원으로 재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이 재산의 모태는 세금도 내지 않은 증여로 일궈졌다. 1979년 10·26 뒤 동생들과 함께 신당동 집으로 돌아간 박근혜는 1982년 성북동 주택으로 이사했다. 1984년 이 집을 팔아 장충동으로 이사했고, 다시 1990년 삼성동으로 옮겼다. 이 과정에서 판 집과 산 집의 가격 차이는 크지 않았다. 살던 집을 판 돈으로 새 집을 산 셈이다. 신당동 집은 박정희기념사업회에 기증된 상태다. 고급주택가에 위치한 성북동 집은 당시 경남기업 신기수 회장이 지었다. 신 회장은 영남대, 육영재단, 정수장학회 등에서 운영위원이나 이사를 역임했다. 등기부등본에는 신 회장이 박근혜에게 이 집을 판 것으로 돼 있다. 이와 관련해 신 회장은 2007년 <신동아> 인터뷰에서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표가 살 집을 지어달라고 내게 말했다. 정확하게는 전두환 사령관이 대통령직에 오르기 전에 지시를 받았다”며 “돈 받고 지었으며, (공사비는) 누가 줬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2007년 경선 청문회에서 “부모님의 유품을 정돈도 하고 그럴 필요성이 생겼는데 신당동 집이 좁아서 꼼짝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 사정을 알고 당시 신 회장이 ‘아버지와 인연이 있던 분이니, 좀 도와주겠다는 생각으로 성북동에 집을 마련했으니까, 거기에 유품도 다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이사를 가면 어떻겠느냐’는 제의가 있어서 받아들인 것”이라고 밝혔다. 증여세 납부 여부에 대해서는 “그때 법적으로 세금 관계나 모든 것을 알아서 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믿고 맡겼다”고 답변했다. 또 박근혜는 10·26 직후 전두환으로부터 청와대 비밀금고에 있던 9억원 가운데 6억원을 무상으로 받았다. 박정희가 격려금이나 촌지 등을 줄 때 이용했던 금고다. 나머지 3억원에 대해서는 “박근혜가 10·26 뒤 당시 전두환 합수본부장으로부터 9억원을 받아 3억원을 김재규 사건 수사 격려금으로 되돌려 줬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박근혜는 경선 청문회에서 “처음부터 6억원만 받았으며, 3억원을 수사 격려금으로 돌려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전두환 전 대통령 쪽에서 심부름 왔다는 분이 만나자고 해서 청와대 비서실장실 쪽으로 갔다. 거기서 저에게 봉투를 전해주면서 ‘박 대통령이 쓰시다 남은 돈이다. 아무 법적인 문제가 없으니까, 지금 생계도 막막하니까, 생계비로 쓰라’고 전해줘서 감사하게 받고 나왔다”는 것이다. 당시 6억원은 소비자물가상승률로 계산했을 때 현재 38억여원의 가치다. 한나라당 복당뒤 받은 2억도
“당이 영수증 처리 말라 했다” ■ 한나라당 복당 뒤 2억원 받아
2004년 대선자금을 수사하던 검찰은 한나라당이 받은 불법 대선자금 가운데 2억원이 박근혜에게 전달된 사실을 확인했다. 박근혜가 대선 직전인 2002년 11월26일 김영일 당시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부터 1억원을 받고, 12월7일 다시 1억원을 수표로 받은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박근혜는 2002년 2월 이회창 총재를 비판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해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했다가 그해 11월19일 복당한 뒤 같은 달 25일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됐다. 이에 대해 박근혜는 당시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된 뒤 충청권과 강원도에서 후보와 따로 유세를 하며 활동비로 받은 것으로, 식사비 등으로 썼다”고 해명했다. 돈 사용처를 영수증 처리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이 돈을 영수증 처리를 했으나 당에서 하지 말라고 해 그 뒤로는 안 했다”고 말했다. 김인현 기자 inhyeon@hani.co.kr ▷ 2012 대선주자 탐구 기획연재 보기
■ 도전수퍼모델3 제작발표회 <한겨레 인기기사>
■ 제주 올레길 살해범 변태 행각 했었다
■ 검찰, 박지원 체포영장 30일 청구할 듯
■ 아들·딸 성적 위조한 엄마 징역 42년?
■ 이대호, 시즌 16호 투런포 작렬…홈런 단독 선두
■ [화보] 해운대는 물반 사람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