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정치일반

인생을 바꾼 책, 그속의 ‘대권의 길’ 있다

등록 2007-07-02 08:22수정 2007-07-02 09:12

대선주자 한달 독서량은? / 그림 김영훈 기자 kimyh@hani.co.kr
대선주자 한달 독서량은? / 그림 김영훈 기자 kimyh@hani.co.kr
대선주자 한달 독서량 4.38권…일반인의 4.4배
이동형·화장실형·속독형·서평형 “책 한권이 내 삶을 바꿨다”

독서왕은 노회찬…‘수첩공주’ 박근혜, 메모는 필수
이명박 “남몰래 방문앞에 책 갖다주던 여학생 못잊어”

대선 주자들은 책이 많다. 살아서 그 삶이 책이 되는 이들이니, 본인을 주제로 한 책이 많고 스스로 쓴 책도 숱하다. 저마다의 서재에는 책이 가득하다. “책 한 권이 내 삶을 바꿨다”고 말한다.

이들은 바쁘다. 새벽부터 시작된 일정은 밤 10시, 11시를 훌쩍 넘긴다. 일분일초가 금쪽같다. 시간 관리의 귀재들이다. 그 금쪽같은 시간을 아껴 책을 읽는다. 책읽기에도 저마다의 비법이 있다. 이들의 삶 속에 녹아든 책을, 살면서 책을 읽어온 방법을 들어봤다. ‘책 속에 (대권의) 길이 있다.’

한나라당의 이명박 전 시장, 박근혜 전 대표, 홍준표·원희룡·고진화 의원, 범여권의 손학규 전 경기지사,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이해찬·한명숙 전 총리, 천정배 전 장관 그리고 민주노동당의 권영길·노회찬·심상정 의원이 답했다.


대선 주자들의 한달 독서량은? <한겨레>가 물어본 결과, 평균 4.38권이었다. 우리 국민 평균 한달 독서량(0.99권, 국립중앙도서관 2006년 통계)의 4.4배다. 독서왕은 노회찬 민주노동당 의원. 틈만 나면 뭐든 읽는다. 이틀에 한 권꼴이다. 서울대 앞에서 <광장서적>을 운영했던 이해찬 전 총리는 “제가 책장사 출신”이라며 책에 대한 애정을 과시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이전엔 매달 10권 정도 읽었지만, 지금은 한 권 읽기도 힘들다고 솔직히 털어놨다. 이렇게 바쁜 이들이니 책 읽을 시간 만들기는 눈물겹다. 이동하는 차 안, 사무실, 잠들기 전의 침대가 서재이고, 책상이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책으로 새벽을 연다. 일과 중엔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도 화장실에서 책과 함께 ‘쾌변’한다. 한명숙 전 총리도 화장실에 책 한 권씩 여퉈두고 조금씩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고 했다. 고진화 한나라당 의원은 밥 먹은 뒤 낮잠 대신 책을 든다.

다들 속독의 달인들이다. 빠르게 훑거나(속독) 내리 읽은(통독) 뒤, 중요한 부분만 다시 읽어본다. 정동영 전 의장은 경제적으로 책을 읽는다. 책 목차와 서론을 읽고, 결론부터 거꾸로 읽는다. 절반만 읽어도 다 읽은 효과를 본다는 설명이다. 이해찬 전 총리는 “필요한 부분만 뽑아서 빨리 읽는다”고 했다. 반대로 민주노동당의 대선 주자 3명은 겉표지부터 뒷표지까지 읽는다. 심상정 의원은 끝까지 작파하는 형이고, 권영길 의원은 꼼꼼한 정독파다. 노회찬 의원은 좋으면 곧바로 한번 더 읽는다.

중요한 부분을 밑줄 긋고 메모해 두는 것은 대선 주자도 마찬가지. 박근혜 전 대표는 ‘수첩공주’ 답게 수첩에 메모한다. 천정배 전 법무장관은 아예 해당 페이지를 복사해 보관한다.

정 시간이 없으면 신문이나 인터넷의 서평으로 대신하는 이들도 많았다. 홍준표 한나라당 의원은 보좌관에게 책을 주고, 10장 정도의 축약본을 만들어 받아 본다.

책에 얽힌 기억을 들어보자. 손학규 전 경기지사의 회고. “중학교 시절, 경기중학교는 도서관 시설이 좋았고 개가식이었다. 아침에 1등으로 들어가려 친구들과 경쟁하느라 밤이 짧았다.” 새벽부터 도서관을 찾았다는 자랑이다. 이명박 전 시장은 중·고등학교 시절의 로맨스까지 덤으로 얹혀 있다. “집안 형편이 어려워 집엔 교과서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웃의 한 여학생이 가끔 우리집 단칸방 방문 앞에 책 한 권씩 갖다 놓곤 했다. 나는 고맙다는 쪽지와 함께 그 여학생 집 문 앞에 책을 놓고 왔다.” 그렇게 책은 오갔다. 그 여학생과의 로맨스는? 실망스럽게도 한번도 얼굴 맞대고 본 적이 없단다.

대선주자들의 독서량 ( ※ 그림을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삶을 바꾼 것도 책이었다. 천정배 전 장관은 군 법무관 시절 황석영의 <어둠의 자식들>을 읽고 충격에 빠져 한동안 넋을 잃었다. 이 영향으로 군부독재 치하에서의 길을 고민하던 그는, 검사의 길을 접고 변호사를 선택한다. 손학규 전 지사는 고1 때 읽은 유달영의 <새역사를 위하여> 때문에 농과대학을 갈 뻔 했다. 덴마크가 패전의 상처를 딛고 세계 최고의 낙농국가로 거듭난 과정을 그린 책이었다. 나라를 제대로 세우려면, 농업이 아닌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마지막에 정치학과로 진로를 바꿨다. 정동영 전 의장도 리영희 선생의 <우상과 이성>을 읽은 당시의 충격을 이렇게 털어 놓는다. “베트남과 미국, 그리고 중국에 대한 시선은 쇼킹했다. 머리 속 고정관념이 깨지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 느꼈다.”

책은 어둠 속의 구원이기도 했다. 박근혜 전 대표는 <월간 에세이> 5월호에 “어머니와 아버지를 갑자기 잃고 힘들었던 젊은 시절, 나를 돌아보며 마음의 중심을 잡아가게 해준 책이 펑유란(馮友蘭)의 저서 <중국 철학사>였다. 당시는 숨쉬는 것조차 힘이 들었고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싶었다”고 적었다. ‘크리스천아카데미 사건’(1979년)에 휘말려 수감된 한명숙 전 총리가 고문상처에 바른 외용약은 <디트리히 본 훼퍼 옥중서간집>이었다. “내가 고통을 당하는 것, 매맞는 것은 그리 심한 고통이 아니다. 참으로 괴롭게 하는 것은, 내가 고난을 당하는 동안 밖이 너무 조용하다는 사실이다.” 이 한 구절은 죽음을 생각하던 한명숙을 삶으로 이끌었다.

<전태일 평전>을 내 인생의 책으로 꼽은 심상정 의원이 인상깊은 책으로 공병호의 <10년 후 한국>과 <10년 후 세계>, 그리고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혁신>을 선택한 것도 눈에 띤다.

책은 이들 정치인들의 삶을 일곱 색깔로 굴절시켜온 프리즘이자, 삶에 간섭해온 파동이었다. 이들은 이렇게 말한다. “그러니, 사람들아, 책을 읽자꾸나.”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G20 윤 대통령 수행원 ‘몸싸움’…브라질 보안요원과 충돌, 왜 1.

G20 윤 대통령 수행원 ‘몸싸움’…브라질 보안요원과 충돌, 왜

“김건희 개목줄” ‘댓글부대’ 의혹 커지는데…입 닫은 한동훈 2.

“김건희 개목줄” ‘댓글부대’ 의혹 커지는데…입 닫은 한동훈

유승민 “국민이 윤석열 부부는 떳떳하냐 묻는다…정신 차려라” 3.

유승민 “국민이 윤석열 부부는 떳떳하냐 묻는다…정신 차려라”

대통령실 지역기자단, ‘기자 무례’ 발언 정무수석에 “사과·해명 요구” 4.

대통령실 지역기자단, ‘기자 무례’ 발언 정무수석에 “사과·해명 요구”

부산일보 기자 “대통령한테 무례한 태도? 이제 누가 질문하겠나?” 5.

부산일보 기자 “대통령한테 무례한 태도? 이제 누가 질문하겠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