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미 정의당 대표.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10일로 내년 4·10 총선이 정확히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윤석열 정부 출범 3년차에 치러지는 내년 총선은 정부·여당에 대한 중간평가이자 169석 거대야당에 대한 결산 성격을 띤다. 특히 다음 총선은 정당 간 대결 못지 않게 공천을 둘러싼 각 당 내부의 계파갈등도 어느 때보다 깊다. <한겨레>는 총선 1년을 앞두고 여야 각 당의 내부를 들여다 봤다.
정의당이 내년 22대 총선에서 목표로 하는 의석수는 ‘지역석 8석 플러스알파’다. 2020년 21대 총선 당시 공언한 ‘원내 교섭단체(20석 이상) 구성’이라는 목표치에 견줘보면,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현재 3~6%대인 당 지지율로는 이마저도 장밋빛 전망이라는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다.
현재 정의당 의석수는 6석이다. 4선의 심상정 의원(경기 고양갑)을 빼면, 나머지 5명(이은주·장혜영·류호정·배진교·강은미)이 모두 초선 비례대표 의원이다. 22대 총선에서 대중적 인지도가 있는 전·현직 의원 8명 등을 중심으로 두자릿수 후보군을 꾸려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것이 정의당의 구상이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과거 선거에서는 최대한 많은 후보자가 출마해 당 득표율을 높여 비례대표 의석을 늘리는 ‘다수 출마 전략’을 썼다면, 내년 총선에서는 ‘정예 후보 전략’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표적인 지역이 서울 노원병(이은주 원내대표)·마포을(장혜영 의원), 경기 성남 분당갑(류호정 의원), 광주 서구을(강은미 의원), 인천 남동 지역(배진교 의원)과 경남 창원 성산구(여영국 전 대표), 인천 연수을(이정미 대표) 등이다.
문제는 총선 승패의 가늠자가 될 당 지지도는 6개월째 3∼6%대의 박스권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21대 총선 때의 당 득표율(9.7%)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정의당의 또 다른 관계자는 “내년 총선이 ‘정권 심판 대 다수당 심판’ 구도로 흐를 가능성이 큰데, 그 사이에서 어떻게 제3당의 존재감을 보여줄 수 있을지 고민”이라고 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