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월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과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등에게 연말 훈장 수여를 추진하다가 철회했다. 정부 출범 7개월 만에 진행되는 대통령 훈장 수여에 뒷말이 나오자 자체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언론에서 수석비서관, 비서관, 선임행정관 등에게 훈·포장과 표창을 수여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며 “이같은 구상을 염두에 두고 추진한 사실은 있지만 최종적으로 서훈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의 설명을 종합하면, 윤 대통령은 연말·연초에 주요 공적을 반영해 참모들에게 훈장을 수여해온 관례에 따라 조만간 두 수석에게 근정훈장을 수여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었다. 근정훈장은 공무원으로서 직무에 최선을 다해 공적이 뚜렷한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이 수석과 강 수석이 각각 거대 야당과 시민사회단체 관련 업무를 수행한 공로를 인정한다는 취지다. 그러나 여권에선 사실상 ‘경질 신호’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수석은 국회와의 소통‧협치를 담당하면서도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나 내년도 예산안 처리 등 역할이 미진했고, 강 수석 또한 산하 비서관의 문건 유출과 “웃기고 있네” 메모 파문 등 논란이 적지 않았던 탓이다.
당장 두 수석이 교체되지 않더라도 공적이 뚜렷한 공무원에게 주는 근정훈장을 임기 1년도 안 된 상황에서 참모들에게 수여하는 게 적절하느냐는 지적도 여권 안팎에서 제기됐다. 대통령실은 훈장 관련 보도 뒤 여론이 좋지 않자 이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관례적으로 (연말 등에) 훈·포장, 표창 등이 수여돼왔고 관행에 따라서 준비를 했었는데 여러 가지 여건상 현 시점에서 주지 않는 게 낫다고 판단해서 이번에 서훈하지 않기로 했다”며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행정관들에 대한 내부 승진 인사는 조만간 단행될 예정이다. 내부 사기 진작 차원으로 대상자는 30~40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