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3일 오전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현장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장이 대북 강경 발언과 국감 기간 중 지방 비상대책위원회 현지 회의 등으로 구설에 오르고 있다.
정 위원장은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금의 북핵 위기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은의 합작품”이라며 “김정은이 확고한 비핵화 의지를 갖고 있다고 동맹국 미국과 우리 국민을 기만한 문재인 정권의 5년 사기극은 역사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적었다.
앞서 정 위원장은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선 ‘전술핵 재배치’를 적극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는 13일 “확장억제라는 게 궁극적으로 북한의 핵 공격을 받았을 때 미국이 보복공격을 해주겠다는 건데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미국 본토까지 날아가는 상황에서 과연 미국이 핵 공격을 받고 핵 보복공격을 하겠다는 전술적인 의문, 신뢰성, 실효성이 제기되는 게 사실이다. 이런 얘기는 더는 뒤로 미룰 필요 없고, 그대로 올려놓고 대화하는 게 옳다”고 말했다. 지난 12일에는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파기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위원장의 발언은 당 내부 공감대 형성 논의를 거치거나 대통령실과 조율되지 않았다.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술핵 배치 재배치는 대통령실 내에서는 무게를 두지 않는 방안인데, 정 위원장이 앞서서 이야기를 하는 바람에 마치 대통령실이 심각하게 고려하는 듯한 느낌을 줬다”고 말했다. 한 당 지도부 의원은 “(정 위원장 발언이) 대통령실과 어느 정도 공감은 있지 않았나 추측만 했을 뿐 당 지도부에서 내부 공식 논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의 언행이 구설에 오른 것은 대북 발언뿐만이 아니다.
정 위원장은 지난 11일 ‘조선은 안에서 썩어 문드러져 망했다’는 주장을 해 식민사관을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12일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인도 순방’ 의혹을 다룬 <김정숙 버킷리스트의 진실>이라는 책을 소속 의원들에게 돌리도록 했다. 한 영남 초선 의원은 “비대위원장이 왜 본인이 지르고 나가는지 모르겠다”며 “우리가 집권여당이고 아무리 미워도 야당이랑 협조할 일들이 있을 텐데 본인이 선봉에 서서 문제를 만들면 대체 해결은 누가 하느냐”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국감 중인 지난 13일 대구에서 현장 비대위 회의를 열기도 했는데 이를 두고 원내 대책을 총괄하는 주호영 원내대표와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주 원내대표는 지난 11일 비공개 국감대책회의에서 “국감 중 현장에 내려가는 게 시기상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시기를 조정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고, 결국 13일 대구에서 열리는 현장 비대위에 불참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