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대구 중구 서문시장을 찾아 상인들과 인사하며 시장 음식을 맛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13일 대구를 시작으로 현장 회의를 시작했지만, 주호영 원내대표는 ‘국정감사 중 지방 일정은 부적절하다’며 이날 현장 비대위 회의에 불참했다.
<한겨레>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주 원내대표는 지난 11일 비공개 국감대책회의에서 “국감 중 현장에 내려가는 게 시기상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시기를 조정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다. 결국 이날 회의에선 현장 비대위가 열리더라도 의원들은 되도록 국정감사장을 지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지역구가 대구인 주 원내대표도 대구시당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주 원내대표 쪽은 “10여곳에서 국정감사가 열리는데 원내대표는 남아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냐. 대구 다녀오면 반나절이 훌쩍 지나가니까 현장에 가긴 좀 그렇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한 수도권 의원은 “국감에만 화력을 집중해도 모자랄 판에 왜 지금 시점에 대구에 가서 지도부 회의를 여는지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대위가 국정감사 중 현장 회의를 강행한 배경으로는 대구·경북의 낮은 지지율이 거론된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 대구·경북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56%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직후인 5월 2주차 조사에서 대구·경북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66%였지만 당 내홍을 거치며 지지율은 꾸준히 하락했다.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30% 박스권에서 정체돼있는 상황에서 여권으로선 지지층 결집부터 절실한 상황이다. 지도부 한 의원은 “대구에서는 당 지지율이 70% 정도 나와줘야 하는데 지금 50%대에 머물고 있어서 지지층 결집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석 위원장은 지난 6일 법원의 가처분 기각 결정으로 ‘사법리스크’를 털어낸 뒤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9·19 군사합의,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파기를 주장한 그는 이날도 대구 서문시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술핵 재배치는) 더 이상 뒤로 미룰 필요가 없고, 있는 그대로 올려놓고 대화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며 “당연히 한미 간 구체적인 어젠다로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