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신문>이 전날 아침 동해상으로 쏜 발사체에 대해 “신형전술유도탄”이라고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번 시험발사를 참관하지 않았다.
<노동신문>의 26일 보도를 보면 북한이 전날 시험발사한 2기의 신형전술유도탄은 “이미 개발된 전술유도탄의 핵심 기술을 이용하면서 탄두 중량을 2.5톤으로 개량한 무기체계”로, 신문은 “수차례에 걸치는 발동기 지상 분출시험과 시험발사 과정을 통해 개량형 고체연료 발동기의 믿음성을 확증”했다고 전했다. 또 이번 시험발사로 “저고도 활공 도약형 비행방식의 변칙적인 궤도 특성 역시 재확증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날 <노동신문>이 공개한 신형전술유도탄 사진과 전날 공개된 사거리, 비행 고도 등을 종합해 지난 1월 노동당 제8차 대회 열병식에 등장했던 KN-23 개량형일 것으로 분석했다. 흑백의 뾰족한 탄두와 KN-23보다 길어진 동체 등 열병식 때 공개된 미사일과 겉모습이 유사하며, 바퀴가 5축인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발사된 점 등이 단서로 꼽힌다. KN-23의 사거리는 400~600㎞ 안팎으로 추정되면서도 최고 고도가 50~60㎞로 알려져 있는데, 북한이 25일 쏜 미사일의 사거리, 고도도 이 범주에 속한다. 사거리의 경우 합참이 전날 밝힌 450㎞와 북쪽의 발표 내용(600㎞) 간 차이가 있다. 군당국은 “한-미가 정확한 제원을 분석 중”이라는 입장이다.
북쪽이 밝힌 대로 탄도 중량이 2.5톤으로 늘었다면 그만큼 고체 연료의 추진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사일 체계 전문가인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2019년 북한이 쐈던 것은 탄두 중량 최대치가 1톤으로 분석됐다”며 “이를 2.5톤으로 늘리려면 로켓의 모터가 커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북쪽이 재확인했다는 “저고도 활공 도약형 비행방식”은 하강 단계에서는 동체에 달린 꼬리날개를 움직여 재상승했다가 수직으로 떨어져 미사일 요격을 어렵게 하는 ‘풀업’(pull-up·활공 및 재상승) 기동 기술을 지칭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쪽이 우리의 미사일 방어체제 구축을 무력화하겠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이 “조선 동해상 600㎞ 수역의 설정된 목표를 정확히 타격”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경계로 안 들어가게 계산했다”는 부분에 관심을 표명하며 북쪽이 무력시위의 수위를 조절했다고 봤다. 군 관계자도 “김정은 위원장이 현장에 가지 않은 것도 결국 대화의 여지는 남겨둔 것”이라고 풀이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