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100년’을 기념하는 3월1일 남북 공동행사가 무산됐다.
남북 고위급회담 북쪽 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남쪽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 앞으로 21일 오전 보내온 전화통지문을 통해 “시기적으로 (3·1 운동 100년 공동행사를) 준비하기가 어렵다”고 통보해왔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통일부는 “3월1일에 맞춘 남북 공동행사는 현실적으로 어렵게 됐지만, 3·1 운동 100년 남북 공동 기념사업은 계속 협의·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3·1 운동 100주년을 남북이 공동으로 기념하기로 하고, 그를 위한 실무적인 방안을 협의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남북은 이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창구 등을 통해 ‘3월1일 남북 공동행사’를 포함해 안중근 의사 유해 공동 발굴 등 다양한 기념 사업을 협의해왔다.
3·1절 남북 공동행사 무산에는 북쪽이 전통문에서 “시기”를 명시한 데서도 드러나듯,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준비하느라 ‘여력’이 부족한 사정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정부도 이를 고려해 3월1일 광화문광장에서 치를 기념행사에 소규모 북쪽 고위급 대표단이 함께하는 방안을 타진했으나 이 또한 성사되지 못했다. 광화문광장 행사가 3·1 운동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년’도 아울러 기념하려는 사정도 ‘장애’로 작용했다. 북쪽은 3·1 운동의 역사적 의미는 인정하지만 ‘임시정부’의 정통성은 인정하지 않는다. 북쪽은 ‘김일성 중심의 만주 항일 빨치산 활동’을 역사적 정당성의 유일 근원으로 삼고 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