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함미(배꼬리)가 침몰된 해상에서 5일 오후 삼아2200호(왼쪽) 등 민간 해상크레인이 천안함 인양 준비를 하고 있다. 백령도/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천안함 침몰] 인양작업 첫날
정부와 군 당국은 천안함을 오는 15일 인양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5일 본격적인 수중 작업에 들어갔다. 또한 군 당국은 천안함 탐색과 침몰 원인 규명을 위해 미국으로부터 전문 인력을 지원받기로 했다.
김학송 국회 국방위원장은 이날 김중련 합동참모본부(합참) 차장 등으로부터 천안함 사고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군은 전체 5단계로 진행되는 인양 작업을 15일까지 끝낼 계획”이라며 “이때가 (물살이 가장 약한) 조금이기 때문이며, 만일 이 시기를 놓치면 4월 말까지 작업이 늦어질 수도 있다고 한다”고 밝혔다.
잠수사들 함수·함미쪽 바닥 꼼꼼히 살펴
주한미군, 인양작전·사고원인 규명 돕기로
해군 “인양뒤 절단면 바로 공개 안한다” 이날 백령도 사고 현장에선 인양 작업을 담당한 민간 업체의 잠수사 30여명이 모두 5차례에 걸쳐 수중 작업을 벌였다. 이기식 합참 정보작전처장은 브리핑을 통해 “잠수사들이 오후에 두 차례 물속에 들어가 함미(배꼬리)와 주변 해저 상태를 확인했다”며 “함미가 있는 1구역에서는 4일 고정 작업을 마친 인양 크레인이 대기중”이라고 밝혔다. 잠수사들은 인양에 앞서 쇠줄을 묶을 적절한 위치와 무게중심을 찾는 데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함수(뱃머리)가 있는 2구역에서도 잠수사들이 세 차례에 걸쳐 함수와 주변 바닥 상태 등을 조사했다. 이와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실종자들이 몰려 있는 함미 부분부터 인양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며 “천안함 인양 작업은 치밀하고 신중하게 준비해서 실수가 없도록 해달라”며 이렇게 말했다고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상의 합참의장은 이날 오후 국방부에서 월터 샤프 주한미군 사령관과 한-미 군고위급 협조회의를 열어 미국 쪽 전문 인력의 지원을 요청했다. 샤프 사령관은 △인양 작전과 관련된 분석 프로그램 지원 △사고 원인 분석 전문팀과 인양 기술 자문위원 지원 △잔해 수거 및 실종자 탐색을 위한 심해탐사 지원 등 세 분야에 협조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군 당국은 침몰된 천안함이 인양되더라도 사고 원인을 규명할 결정적 단서가 될 함미와 함수의 절단면은 바로 공개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관계자는 이날 “선박이 인양됐을 때 천안함의 함수는 앞쪽만, 함미는 끝쪽만 (언론의) 촬영이 가능하며 함수와 함미의 절단면은 촬영이 불가하다”며 “이는 (절단면을 미리 보여줌으로써) 언론의 온갖 억측과 의혹들이 보도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처”라고 말했다. 군은 해상크레인으로 천안함 인양 작업을 시작하면, 천안함이 실리게 될 바지선에 외벽을 쳐 노출을 차단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런 방침을 놓고 그동안 군이 천안함 사고와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던 것처럼 또다시 결정적 단서를 감추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백령도/이승준, 고나무 기자gamja@hani.co.kr
주한미군, 인양작전·사고원인 규명 돕기로
해군 “인양뒤 절단면 바로 공개 안한다” 이날 백령도 사고 현장에선 인양 작업을 담당한 민간 업체의 잠수사 30여명이 모두 5차례에 걸쳐 수중 작업을 벌였다. 이기식 합참 정보작전처장은 브리핑을 통해 “잠수사들이 오후에 두 차례 물속에 들어가 함미(배꼬리)와 주변 해저 상태를 확인했다”며 “함미가 있는 1구역에서는 4일 고정 작업을 마친 인양 크레인이 대기중”이라고 밝혔다. 잠수사들은 인양에 앞서 쇠줄을 묶을 적절한 위치와 무게중심을 찾는 데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함수(뱃머리)가 있는 2구역에서도 잠수사들이 세 차례에 걸쳐 함수와 주변 바닥 상태 등을 조사했다. 이와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실종자들이 몰려 있는 함미 부분부터 인양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며 “천안함 인양 작업은 치밀하고 신중하게 준비해서 실수가 없도록 해달라”며 이렇게 말했다고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상의 합참의장은 이날 오후 국방부에서 월터 샤프 주한미군 사령관과 한-미 군고위급 협조회의를 열어 미국 쪽 전문 인력의 지원을 요청했다. 샤프 사령관은 △인양 작전과 관련된 분석 프로그램 지원 △사고 원인 분석 전문팀과 인양 기술 자문위원 지원 △잔해 수거 및 실종자 탐색을 위한 심해탐사 지원 등 세 분야에 협조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군 당국은 침몰된 천안함이 인양되더라도 사고 원인을 규명할 결정적 단서가 될 함미와 함수의 절단면은 바로 공개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관계자는 이날 “선박이 인양됐을 때 천안함의 함수는 앞쪽만, 함미는 끝쪽만 (언론의) 촬영이 가능하며 함수와 함미의 절단면은 촬영이 불가하다”며 “이는 (절단면을 미리 보여줌으로써) 언론의 온갖 억측과 의혹들이 보도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처”라고 말했다. 군은 해상크레인으로 천안함 인양 작업을 시작하면, 천안함이 실리게 될 바지선에 외벽을 쳐 노출을 차단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런 방침을 놓고 그동안 군이 천안함 사고와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던 것처럼 또다시 결정적 단서를 감추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백령도/이승준, 고나무 기자gamja@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