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미 정보당국 방사능 물질 탐지 못해”

등록 2006-10-14 02:14수정 2006-10-14 02:19

IAEA도 공기샘플에서 증거 못찾아
재래식 폭발·작은 규모 실험 가능성
 미국 정보당국은 북한의 핵실험 주장 다음날인 지난 10일 채취한 북한 공기 샘플에서 방사능 물질을 탐지하지 못했다고 <시엔엔>(CNN)이 13일 보도했다.

<시엔엔>은 이날 미국 정보당국 관계자들의 말을 따서 이렇게 전하고, 현재까지 지난 9일의 폭발이 핵장치 폭발이었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이 방송은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북한에서 방사능 물질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시엔엔>은 지금까지 발견된 사실로 미뤄볼 때 “지난 9일 탐지된 폭발은 재래식 폭발물에 의한 것이거나, 실험 장소가 워낙 잘 차단돼서 방사능 물질이 분출되지 않았거나, 워낙 작은 규모의 실험이어서 방사능 물질을 탐지하기 어려울 정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에이피>(AP) 통신도 같은 소식을 보도하면서, 공기 샘플이 폭발 다음날인 10일 정보 수집기(WC-135)에 의해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동해에서 채취된 것이라고 밝혔다. 정보 당국자들은 이것이 첫 공기 샘플 채취이긴 하고 최종 분석엔 며칠 더 걸리겠지만, 첫 채취가 결정적인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그러나 이것이 북한의 폭발이 꼭 핵폭발이 아니라는 뜻은 아니다. 미국 정부는 그 폭발의 본질에 관해 여전히 불확실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국내 국책연구기관의 한 과학자는 공기 중 방사능을 채취하는 방법이 아니더라도, 핵실험 때 유출되는 방사능을 인공위성이나 항공기를 통해 촬영하면 실제 실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과학자는 “지형 변화가 없더라도 핵실험으로 인한 열까지 막을 수는 없다”며 “인공위성이나 항공기로 열 영상을 찍으면 핵실험 여부를 금방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핵실험을 하면 고온이 발생하고 열이 오래 남아 있는 반면, 고성능 폭탄이 터졌다면 핵실험보다 온도도 낮을 뿐 아니라 금방 식는다는 것이다. 실제 파키스탄이 1998년 핵실험을 했을 때도 미국은 위성으로 열열상을 찍어 실험 사실을 알았다.

이용인 기자, 연합뉴스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경호처, 김건희에 S20 비화폰 지급”…김성훈 “확인해 줄 수 없다” 1.

“경호처, 김건희에 S20 비화폰 지급”…김성훈 “확인해 줄 수 없다”

권영세, 극우와 거리두란 지적에 “부적절”…조기대선은 “준비 안 해” 2.

권영세, 극우와 거리두란 지적에 “부적절”…조기대선은 “준비 안 해”

이상민 “증언하지 않겠다”…언론사 단전·단수 질의 답 거부 3.

이상민 “증언하지 않겠다”…언론사 단전·단수 질의 답 거부

“윤석열, 도마뱀 같은 사람”…전 대검 감찰부장 “쓸모 없으면 잘라” 4.

“윤석열, 도마뱀 같은 사람”…전 대검 감찰부장 “쓸모 없으면 잘라”

[속보] 국회 국조특위, 윤석열 ‘동행명령장’ 발부 5.

[속보] 국회 국조특위, 윤석열 ‘동행명령장’ 발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