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박 대통령·시진핑 주석 회담
‘북, 당 창건일때 미사일 발사 말라’ 우회 압박 해석
한중일 정상회의 10월말 또는 11월초 한국서 열기로
‘북, 당 창건일때 미사일 발사 말라’ 우회 압박 해석
한중일 정상회의 10월말 또는 11월초 한국서 열기로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한반도의) 정세 긴장을 초래하는 그 어떤 행위에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10월10일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맞아 벌어질 수 있는 북한의 무력시위를 반대한다는 뜻을 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양국 정상은 10월말 또는 11월초께 한국에서 한-중-일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배포한 언론보도자료를 통해,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최근 한반도에서 조성됐던 긴장 상태가 남북간 협의를 통해 완화된 것을 평가하고, 금번 합의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행되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가속화되기를 희망했다”고 밝혔다. 또 “두 나라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한반도 정세 발전을 포함하여 이 지역 및 국제 문제에 대해 의사소통 및 협의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또한 두 나라 정상은 2005년 ‘9·19 공동성명’(북한이 6자회담 중 모든 핵무기를 파기하고, 핵무기통제 틀로 복귀한다고 한 약속)과 유엔 안보리 관련 결의들이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이와 관련하여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행동’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두 정상은 또한 “이미 여러 차례 천명한 바 있는 비핵화 목표를 확고히 견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최근 국제사회의 단합된 노력으로 이란 핵협상이 타결되었음에 주목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의미있는 6자회담이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최근 8·25 남북 고위급 접촉 합의와 관련해 양국 정상은 “최근 한반도에서 조성됐던 긴장 상태가 남북간 협의를 통해 완화된 것”으로 평가한 뒤 이번 합의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행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가속화되기를 희망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시작 전 모두발언에서 “이번 한반도의 긴장상황을 해소하는 데 중국 쪽이 우리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건설적인 역할을 해주신 데 대해 감사드린다”고 밝혀, 이번 남북 대치 국면에서 중국이 ‘모종의 역할’을 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양국 정상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한반도 정세 발전을 포함해 한반도 및 국제문제에 대해 의사소통 및 협의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고, 특히 우리 쪽은 “한반도가 분단 70년을 맞아 조속히 평화롭게 통일되는 것이 지역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중국 쪽은 “한반도가 장래에 한민족에 의해 평화적으로 통일되는 것을 지지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특히 양국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해서 심도있는 논의가 있었다”고 밝혀 어떤 논의가 이뤄졌을지 눈길을 끌었다.
두 나라 정상은 또한 10월말~11월초에 한국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을 열기로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청와대는 전했다. 이는 한국이 주도해 3국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이를 한-일 정상회담의 계기로 삼는다는 우리 쪽 구상을 중국 정부가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 바로가기 : [전문] 청와대 발표 정상회담 결과
이슈중국 열병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