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초래된 한반도 군사적 긴장 상황을 논의하는 남북 고위급 접촉이 25일 0시 55분께 극적으로 타결됐다. 통일부 제공
판문점 ‘평화의 집’ 43시간 마라톤 협상
사흘 밤새우며 고도의 심리전까지
‘평균 68살’ 대표단, 체력과의 싸움
사흘 밤새우며 고도의 심리전까지
‘평균 68살’ 대표단, 체력과의 싸움
지난 22일 시작된 남북 고위급 접촉이 43시간이라는 유례없는 마라톤협상의 기록을 남기며 마무리됐다. 청와대는 연 사흘 밤샘 비상대기를 이어갔지만, 막판 극적 협상을 끌어냄에 따라 환호하는 분위기였다.
남북 협상이 장기화하는 경우는 있지만 이번처럼 중단 없이 한자리에서 ‘무박 4일’간 진행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례적으로 장시간 협상이 이어진 탓에, 고위급 접촉이 진행된 ‘평화의 집’에서의 43시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고위급 접촉이 열리고 있는 판문점 안 남쪽 구역 ‘평화의 집’에는 별도의 숙박시설이 없다. ‘평화의 집’은 1층 귀빈실·기자실, 2층 회의장, 3층 연회장으로 구성돼 있다. 회담은 2층에서 열렸다. 회담장 옆에 휴식공간이 있긴 하지만, 누워 쉴 만한 여건이 되지 않아 회담 참석자들은 의자 등에 앉아 휴식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쪽 구역에 있는 지상 1층, 지하 2층 규모의 통일각에는 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북쪽 참석자들이 때때로 이곳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장 젊은 홍용표(51) 통일부 장관을 제외하고는, 73살 김양건 노동당 대남비서와 66살 동갑인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등 고령의 대표단이 마라톤회담을 이어가기엔 ‘부적절한’ 환경이었던 셈이다. 여기에 밤을 새워가며 고도의 심리전을 펴야 하는 협상을 이어가고 있어 대표단 체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협상단은 샤워는 하지 못하고, 화장실에서 가벼운 세수와 면도 등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화의 집’에는 별도의 식당이 마련돼 있지 않아 협상단은 도시락 등으로 식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3층에 연회실이 있으나, 협상단이 이곳을 이용하진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협상 분위기가 좋을 때는 남북이 이곳에서 함께 식사를 하곤 했었다.
청와대는 발표날인 25일 새벽 2시까지 연 사흘 밤샘 비상대기 상황을 유지하며 협상 진행 과정을 지켜봤다. 이병기 비서실장을 비롯한 핵심 참모들은 고위급 접촉이 시작된 22일에 이어 23·24일도 거의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채 판문점 핫라인을 통해 시시각각 전달되는 회담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직원들은 사무실 소파에서 잠을 청하면서 비상대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