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방후 상황 지켜보자" 신중 자세
이해찬 총리가 5일 `3·1절 골프 파문'에 대해 대국민사과와 함께 사실상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노 대통령이 아프리카 순방(6-14일)이후 이 총리의 사의를 수용할지 아니면 `재신임'을 통해 유임시킬 것인지 여부인 것이다.
◇노대통령 입장 유보 = 노 대통령은 당장 이 총리의 거취문제에 대해 4일저녁 전화보고를 받고 가타부타 입장표명은 밝히지 않은 채 "아프리카 순방을 다녀온뒤 보자"며 결정의 시점을 유보했다.
노 대통령이 이 총리의 사의를 수용할 지 여부는 현재로서는 속단하기 어렵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대통령의 판단은 순방이후 지켜봐야 한다. 지금으로서는 뭐라고 말할 수 없다"며 신중한 태도로 일관했다.
이 총리가 물러날 경우 분권형 국정운영에 기반한 노 대통령의 임기 하반기 국정구뽑 흐트러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사의 수용도 쉽지 않은 선택이지만, 그렇다고 이 총리를 재신임하는 선택도 여론의 부담을 안는다는 점에서 딜레마인 것이 사실이다.
노 대통령이 양쪽중 어떤 결정을 내리더라도 정국은 또 한 차례 큰 요동을 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5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당분간 청와대에서 새롭게 제기할 만한 내용은 없다"며 "대통령이 아프리카 순방을 다녀온 이후까지 상황을 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일단 이집트, 나이지리아, 알제리로 이어지는 6∼14일의 아프리카 순방기간 이 총리의 진퇴문제를 두고 장고의 시간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들의 신중한 태도는 이 총리 거취에 관한 청와대발 언급이 자칫 불필요한 정치적 오해와 억측을 낳아 상황을 더욱 꼬이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이번 골프 파문에 대한 싸늘한 여론과 정국상황을 청와대가 부담스러워하고 있다는 반증으로 풀이된다.
◇이총리 유임 가능성 = 현시점에서 청와대 내부 기류를 보면 결국 이 총리가 유임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다소 우세한 편이다. 무엇보다 이 총리의 퇴진이 갖는 정치적 의미와 그 파장이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이 총리가 물러나면 분권형 국정운영의 틀 자체가 바뀌는 것은 물론이고, 동시에 양극화 해소 등 미래과제에 전념하겠다는 노 대통령의 임기 후반기 국정구상에도 근본적인 궤도수정이 불가피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핵심 참모도 "이 총리가 물러나면 아무래도 국정운영에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 총리의 이날 입장표명은 `거취' 보다 `사과' 쪽에 무게가 실려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여론정치'를 체질적으로 싫어하는 노 대통령의 인사스타일도 이 총리의 퇴진 가능성에 회의적 시각을 갖게 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사견을 전제로 "이 총리가 정책집행에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다거나 범법행위 등 도덕적 하자가 있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며 "대통령은 오히려 여론의 비이성적 흐름과 정치공세에 단호히 선을 그으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총리 사의수용 가능성 = 하지만 이 총리의 사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치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이 총리가 과거 대국민사과까지 한 실수를 반복한 데다 임기 2년을 남긴 현 시점에서 5선의 여당 의원인 이 총리를 물러나게 하는 것이 5.31 지방선거의 중립성을 확보하고 향후 야당의 협조 속에 국정과제를 원활하게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여기에 이 총리의 거취문제에 대해 노 대통령이 "순방후에 보자"며 즉답을 피한 것도 이번만큼은 노 대통령이 `여론'을 존중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를 싣고 있다.
더구나 이 총리의 사의 표명이 열린우리당 내부의 강경한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이 총리를 재신임하기에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권의 부담이 너무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런 점에서 노 대통령의 최종 판단은 결국 여론의 흐름과 정국추이, 여당 지도부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들이 이 총리의 사의 수용 가능성에 대해 공식 언급을 삼가면서 한결같이 "순방 이후 상황"을 판단 시점으로 거론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분석된다.
한 핵심 비서관은 "일단 순방을 다녀와서 이 문제와 관련된 여러 상황을 보고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