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 주민센터 관계자들이 8일 오전 서울시장 보궐선거 벽보를 떼어내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미니 대선급’ 선거로 뜨거운 관심을 받은 4·7 재보궐선거가 국민의힘 압승으로 막을 내렸습니다. 화려한 조명이 꺼지고, 무대에서 내려온 서울시장 후보들의 이튿날 모습은 어땠을까요?
압도적 승리의 주인공이 된 오세훈 서울시장(국민의힘)은 8일 10년 만에 서울시청으로 다시 출근하며 ‘첫날부터 능숙하게’라는 선거 슬로건을 지키겠다고 각오를 다졌습니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같은 날 캠프 해단식에서 “내년 (대통령 선거일인) 3월9일 광화문에서 다시 만납시다”라는 인사를 건넸습니다. 차기 대선에서 정권 재창출로, 쓰라린 이번 패배의 아픔을 씻겠다는 것입니다. 오 시장과 단일화 경선에서 쓴잔을 마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한결같다’는 의미를 담은 추사 김정희의 그림 <세한도>를 배경으로 ‘앞으로 변함없는 진심의 정치’를 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각종 선거와 국회 온갖 일을 취재하는 정치팀 장나래입니다. ‘연극이 끝난 후’라는 노래를 아시나요? 1980년 대학가요제에서 처음 소개된 뒤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조명이 꺼진 무대를 본 적이 있나요”라는 가사로 ‘레전드급’ 반열에 오른 노래입니다. 서울시장 선거가 끝난 뒤 이 노래가 떠오른 것은 주연배우였던 후보들이 떠난 선거판이 ‘불 꺼진 무대’ 같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보궐선거’라는 정치적 상징성이 큰 무대에서 울고 웃던 주연배우들은 제각각 맡겨진 자리로 돌아가 새 출발을 다짐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후보들의 정치적인 득실은 저마다 달랐지만, 하나같이 밝은 미래와 희망을 그리며 무대를 떠났습니다.
그런데 선거 과정에서 주연배우들에게 입은 상처를 치유하지 못한 채, 텅 빈 무대를 바라보는 이들도 있습니다. 어떤 이는 선거기간 내내 잔혹한 2차 가해에 시달려야 했고, 누군가는 자신의 존재를 부정당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가장 빈번하게 강제소환된 건 전임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피해자였습니다. 박영선 후보의 만류에도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여권 인사들이 2차 가해에 앞장서며 지지자 결집을 꾀했고요.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으로 불러야 한다고 했던 남인순, 진선미, 고민정 의원이 민주당 캠프에 합류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결국 피해자가 선거기간 중에 기자회견을 열어 “지금 선거 캠프에는 저에게 상처 주었던 사람들이 많이 있다”고 호소하자 이른바 ‘피해호소인 3인방’은 뒤늦게 사퇴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권력형 성범죄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대안은 찾아보기 힘들었습니다.
오세훈 후보는 난데없이 용산참사 피해자들을 12년 만에 소환했는데요. 지난달 31일 서울시장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용산참사가 “과도하고 부주의한 폭력행위 진압을 위한 경찰력 투입으로 생겼던 사건”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유족들은 참사 현장을 다시 찾아 “살고자 올랐던 망루에서 주검이 되어 내려왔다. 어떻게 피해자들에게 참사의 책임을 돌릴 수 있냐”고 절규했습니다. 결국 오 후보는 사과했지만, 시장 재임 시절 사건의 진실을 왜곡한데다 피해자들에게 책임을 뒤집어씌웠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오 후보는 지역 공약으로 서울 강서구에 ‘어울림플라자’ 건립을 전면 재검토한다는 펼침막을 내걸었다가 ‘장애인 차별’이라는 거센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해당 시설은 전국 최초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하는 문화복지시설로 2024년 2월 준공을 앞둔 상황인데, 이를 전면 재검토한다며 당당하게 차별을 공약으로 내건 것입니다. 오 후보와 치열하게 단일화 경선을 치른 안철수 대표 역시 티브이 토론에서 “광화문에서 하는 퀴어 축제를 거부할 권리도 존중받아야 한다”고 말해 성소수자 혐오를 조장한다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이처럼 선거철만 되면 누군가를 저격하는 발언이 되풀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회적 약자나 소수 집단에 대한 반대와 차별이 오히려 정치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다는 계산이 아니었다면, 굳이 한표 한표가 아쉬운 선거철에 이런 발언이 나올 이유는 없겠지요. 전략적인 측면에서 당선에 도움만 된다면 기꺼이 혐오의 편에도 설 수 있는 것입니다. 이들이 ‘편 가르기’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힘이 결국 관객인 유권자에게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선거라는 한 편의 연극이 끝난 뒤, 상처받은 이들 없이 함께 무대를 떠날 힘은 우리의 ‘한 표’에 있습니다.
장나래 정치팀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