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이 필요하다’고 보는 국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을 가진 이들보다 세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 시기와 관련해서는 절반 가까운 국민이 ‘다음 대통령 임기 중에 개헌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겨레>가 리서치플러스에 의뢰해 지난달 28일부터 이틀간 전국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새해 여론조사에서 ‘개헌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이들은 66.6%에 달했지만 ‘개헌이 필요하지 않다’고 보는 이들은 20.8%에 그쳤다. 모름·무응답은 12.6%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살 이상에서 개헌이 필요하다고 답한 이들이 70.2%(필요하지 않다 1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는 56.7%(필요하지 않다 29.6%), 20대는 63.5%(필요하지 않다 21.0%)로 평균치를 밑돌았다. 이런 조사 결과는 더불어민주당이나 문재인 전 대표를 지지하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개헌에 소극적인 답변을 한 것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개헌에 찬성하는 이들이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는 60.4%인 반면 새누리당과 국민의당, 개혁보수신당(가칭) 지지층에서는 각각 63.1%, 75.1%, 78.9%로 비율이 더 높았다.
‘개헌을 한다면 그 시기는 언제가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는 응답자의 48.5%가 ‘이번 대선에서 후보들이 공약하고, 당선된 대통령이 임기 내에 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번 대통령 선거 이전에 해야 한다’고 답한 이들은 32.4%였고, ‘이번 말고 그다음 대통령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은 11.2%였다. 모름·무응답은 7.9%였다.
세대별로 보면 30~40대는 ‘대선 전 개헌’에 소극적이지만 50대 이상은 좀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대선 전 개헌’을 찬성한 비율을 보면, 30대와 40대가 각각 18.9%와 26.5%로 평균치보다 낮았지만, 50대와 60살 이상에서는 45.5%와 36.4%로 평균치보다 높았다. 새누리당 지지층은 ‘대선 전 개헌’과 ‘차기 정부 개헌’의 찬성 비율이 각각 37.8%와 34.9%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차기 정부 개헌’ 의견이 62.5%로 ‘대선 전 개헌’(20.7%)보다 세 배 이상 많았다. 같은 맥락에서 문재인 전 대표 지지자의 65.0%는 ‘차기 정부 개헌’을 지지했고, ‘대선 전 개헌’ 의견은 18.4%에 불과했다. 거꾸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지지자 중엔 ‘대선 전 개헌’ 의견이 44.6%로, ‘차기 정부 개헌’ 의견 38.5%보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개헌이 필요하다고 보는 이들도 구체적인 개헌 시기와 관련해서는 지지 정당과 후보에 따라 전략적인 판단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