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위 지지하던 문재인 ‘이슈화 반대’
신당 출현 가능성 고려한듯
이종걸 원내대표는 힘실어주기
여당 “기득권 강화” 반대 공세
시민단체 “논의 시작해야” 증원 찬성
신당 출현 가능성 고려한듯
이종걸 원내대표는 힘실어주기
여당 “기득권 강화” 반대 공세
시민단체 “논의 시작해야” 증원 찬성
‘금칙어’의 봉인이 풀렸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독일식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국회의원 증원 논의의 공론화를 요구하고 나선 다음날인 27일, 정치권은 의원정수 확대 문제를 두고 날선 신경전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의원정수 확대=기득권 강화’라는 논리로 야당을 공격했다. 이날 최고위원회에서는 의원정수 확대는 “정치 실업자 구제책”(이정현 최고위원), “시대를 역행하는 국회 비대화”(이인제 최고위원)라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야권 일각의 ‘권역별 비례대표-의원정수 확대론’에 일찌감치 부정적 입장을 밝혀온 새누리당이었기에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반응이었다.
정작 눈에 띈 대목은 혁신안을 둘러싸고 새정치연합 내 주류-비주류가 그간 보여온 태도가 이번에 뒤바뀌었다는 데 있었다. 지금껏 혁신안에 전폭적 지지 의사를 밝혀온 문재인 대표 등 당 주류가 “의원정수 이슈화는 시기상조”라며 제동을 걸고 나선 반면, 혁신위와 불편한 관계에 있던 비주류의 이종걸 원내대표는 혁신안에 힘을 싣고 나서는 이례적인 상황이 펼쳐진 것이다.
문 대표 쪽 논리는 지금은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여론 조성에 집중할 때라, 국민 반감이 심한 의원정수 확대 문제를 이슈화해선 곤란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종걸 원내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확대하려면 국회의원 수를 늘리지 않을 수 없다고 맞섰다. 혁신위 일각에서도 문 대표의 주장은 ‘논리적 모순’이란 반응을 내놨다. 한 혁신위원은 “선거구간 인구편차를 기존 ‘3 대 1’에서 ‘2 대 1’로 조정하라는 헌법재판소 권고를 따르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려면 의원정수를 늘리는 것 외엔 방법이 없다는 것을 문 대표나 주변 참모들도 모르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럼에도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에 집중하고 의원정수 문제를 언급하지 말라는 건 논리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주장”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여든 야든 주류 당권파로선 다당제의 원심력(탈당 또는 신당)을 키울지 모를 선거제도 개편에 부담을 느끼는 게 당연하다”며 “문 대표 진영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했다. 정당 구도 자체에 대한 새정치연합 내 주류-비주류의 선호가 다르다는 것이다. 실제 당권을 기반으로 차기 대권을 거머쥐려는 문 대표 등 주류 당권파의 입장에선 자칫 야권 내부에 ‘신당’의 가능성을 키울 수 있는 ‘비례대표 확대’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문 대표 역시 이날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하면서도 양당 구도를 탄탄히 유지하는 나라들도 있다”며 양당제에 대한 선호를 분명히 했다.
반면 ‘비주류 개혁파’를 자처하는 이 원내대표 주변 ‘의회주의 협상파’ 그룹은 양당제보다 다당 구도 아래서의 ‘정당간 연합정치’를 선호한다. 정당 구도에 대한 야당 내부의 선호도 차이는 각 그룹 구성원들의 출신 배경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당 주류는 원내 협상보다 선명성을 강조하는 운동권 출신이, 이른바 ‘비주류 개혁파’는 협상과 절충을 중시하는 율사 출신이 주축이다.
진보학계와 시민단체는 혁신위와 이 원내대표 쪽 주장에 우호적이다.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연구위원은 “국회 정치 일정상 지금 야당이 의원정수 문제를 공론화하지 않으면 지역구 의석을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이는 수순으로 가게 돼 있다”며 의원정수 공론화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참여연대도 논평을 내어 “다양한 입법적 요구를 반영하고 행정부와 사법부를 견제·감시하려면 적정 의원수가 얼마인지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며 정수 확대론에 힘을 실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