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 신당 창당과 관련한 새누리당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민주·안철수 통합신당 전격선언 새누리 거친 비판
야권 신당 창당에 위기감 드러내
이재오 “여당도 무공천 선언해야”
청와대, 공식반응 없이 파장 주시 “안철수라는 포장지 1장 값에 제1 거대야당을 팔았다”, “최악의 뒷거래 정치”, “양치기 정치인의 아이콘”…. 새누리당은 2일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 중앙운영위원장의 ‘창당·통합’ 선언을 ‘야합’으로 규정하며 비판을 쏟아냈다. 주요 당직자들은 온종일 날선 논평과 거친 말로 견제구를 날리며 당혹감을 드러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야권의 새정치라는 것은 원래부터 없었다”며 “결국 오늘과 같은 전무후무한 최악의 뒷거래가 이뤄지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안철수라는 포장지 1장 값에 제1 거대야당을 팔아버렸고, 안철수 위원장은 대권후보 1장 값에 잉태중인 신당을 포기해버렸다”며 “안철수 위원장은 계산 빠른 정치공학의 아이콘, 양치기 정치인의 아이콘이 돼 버렸다”고 비판했다.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새누리당은) 평시 모드”라며 의연함을 보이던 박대출 대변인은 같은 사안에 대해 두차례 논평을 내며 공세를 펼쳤다. 박 대변인은 첫번째 브리핑에서 “제1야당인 민주당이 야권 짝짓기를 위해서라면 민주당 본연의 어떤 가치도, 자존심도 내던지는 구태정치의 모습을 또다시 재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두번째 브리핑에서도 “김-안 합의는 급조된 세력과 급조된 회동에서 급조된 합의를 보여준 ‘3중 급조’ 시나리오”라며 비판의 수위를 한층 높였다. 정치권에선 ‘6·4 지방선거에서 야권이 분열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사라진 데 대해 새누리당이 당혹감을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야권의 통합신당 창당 움직임에 맞서 새누리당도 대선공약인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실천해야 한다는 요구도 제기됐다. 비주류 중진인 이재오 의원은 페이스북에 “당의 운영을 군사독재 시절의 여당과 같이 해서는 안 된다”며 “대선공약대로 여당도 무공천 선언을 해야 한다. 여당만 공천한다는 것은 대선공약을 스스로 파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어떤 공식 반응도 내놓지 않고 침묵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 신당 창당이 6·4 지방선거뿐 아니라 이후 정국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세웠다. 청와대는 특히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약속 이행’과 ‘지난 대선 때의 불법선거 개입 등 진상 규명’을 공언한 것이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채경화 석진환 기자 khsong@hani.co.kr
이재오 “여당도 무공천 선언해야”
청와대, 공식반응 없이 파장 주시 “안철수라는 포장지 1장 값에 제1 거대야당을 팔았다”, “최악의 뒷거래 정치”, “양치기 정치인의 아이콘”…. 새누리당은 2일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 중앙운영위원장의 ‘창당·통합’ 선언을 ‘야합’으로 규정하며 비판을 쏟아냈다. 주요 당직자들은 온종일 날선 논평과 거친 말로 견제구를 날리며 당혹감을 드러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야권의 새정치라는 것은 원래부터 없었다”며 “결국 오늘과 같은 전무후무한 최악의 뒷거래가 이뤄지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안철수라는 포장지 1장 값에 제1 거대야당을 팔아버렸고, 안철수 위원장은 대권후보 1장 값에 잉태중인 신당을 포기해버렸다”며 “안철수 위원장은 계산 빠른 정치공학의 아이콘, 양치기 정치인의 아이콘이 돼 버렸다”고 비판했다.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새누리당은) 평시 모드”라며 의연함을 보이던 박대출 대변인은 같은 사안에 대해 두차례 논평을 내며 공세를 펼쳤다. 박 대변인은 첫번째 브리핑에서 “제1야당인 민주당이 야권 짝짓기를 위해서라면 민주당 본연의 어떤 가치도, 자존심도 내던지는 구태정치의 모습을 또다시 재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두번째 브리핑에서도 “김-안 합의는 급조된 세력과 급조된 회동에서 급조된 합의를 보여준 ‘3중 급조’ 시나리오”라며 비판의 수위를 한층 높였다. 정치권에선 ‘6·4 지방선거에서 야권이 분열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사라진 데 대해 새누리당이 당혹감을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야권의 통합신당 창당 움직임에 맞서 새누리당도 대선공약인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실천해야 한다는 요구도 제기됐다. 비주류 중진인 이재오 의원은 페이스북에 “당의 운영을 군사독재 시절의 여당과 같이 해서는 안 된다”며 “대선공약대로 여당도 무공천 선언을 해야 한다. 여당만 공천한다는 것은 대선공약을 스스로 파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어떤 공식 반응도 내놓지 않고 침묵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 신당 창당이 6·4 지방선거뿐 아니라 이후 정국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세웠다. 청와대는 특히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약속 이행’과 ‘지난 대선 때의 불법선거 개입 등 진상 규명’을 공언한 것이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채경화 석진환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