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미묘한 시각차
이해찬 총리의 거취를 둘러싸고 네 야당의 시각이 미묘하게 엇갈리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6일 해임건의안 제출까지 주장하며 단호하게 즉각 사퇴를 압박했다. 반면, 민주노동당과 국민중심당은 책임은 져야 하지만, 사퇴나 해임건의안까지 언급할 사안은 아니라는 신중한 태도다.
강경한 한나라당, 민주당=한나라당은 이 총리의 사퇴를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이날 국회 윤리특위에 이 총리에 대한 윤리심사 요구안도 제출했다.
박근혜 대표는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총리가 철도 파업이 벌어지는 데 물의를 빚었고, 이런 일이 한 두번이 아니다”라며 “이래서 국정이 제대로 이뤄지겠냐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이방호 정책위의장도 “총리가 즉각 사임해 국민의 분노를 잠재우지 않으면 야당으로서 취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겠다”며 해임건의안을 낼 뜻을 거듭 내비쳤다.
한나라당은 추가 의혹도 제기했다. 이계진 대변인은 “어떻게 골프 자리가 만들어졌고, 누구와 무슨 대화를 했는지 총리 자신이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정훈 정보위원장도 “선거를 앞두고 부산지역의 핵심 상공인들과 만난 만큼 선거대책 이야기가 오갔을 수도 있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민주당도 이날 대표단 회의를 열어 ‘이 총리 즉각 사퇴’를 당론으로 정했다. 한화갑 대표는 “악화될 대로 악화된 국민정서를 고려할 때 이 총리가 스스로 사퇴해야 마땅하고, 노무현 대통령도 즉시 이 총리를 해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열 대변인은 “사퇴를 안할 경우 해임건의안 제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신중한 민주노동당, 국민중심당= 민주노동당은 총리의 책임을 언급하면서도 한나라당의 해임 공세에는 동참하지 않겠다는 태도다. 박용진 대변인은 “부적절한 인사들과 골프를 친 것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어야 하고, 대통령이 현명하게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해, 사의 수리가 바람직하다는 뜻을 조심스럽게 밝혔다.
그러나 해임건의안에 대해서는 한나라당이 최연희 의원 성추행 사건을 물타기 하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보고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당 내부에선 골프 파문보다 철도 파업에 대한 총리의 강경대응 태도를 더욱 문제삼는 분위기다.
국민중심당은 7일 당직자회의에서 당론을 결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분위기는 신중한 편이다. 정진석 국민중심당 원내대표는 사견임을 전제로, “사과를 하고 거취표명을 한다고 하니 지금은 지켜봐야 한다고 본다”며 “삼일절 골프건만으로 해임건의안을 내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성연철 신승근 기자 sychee@hani.co.kr
성연철 신승근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