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신년사를 통해 남북 대결 해소와 남북공동선언의 이행을 강조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유화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관계개선의 가능성을 엿보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제1비서는 어제 북한 매체를 통해 중계된 육성 신년사에서 “나라의 분열상태를 종식시키고 통일을 이룩하는 데서 중요한 문제는 북과 남 사이의 대결상태를 해소하는 것”이라며 “북남공동선언을 존중하고 이행하는 것은 북남관계를 진전시키고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근본 전제”라고 말했다. 남북 정상 간에 합의된 6·15 선언과 10·4 선언의 이행을 관계개선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것이다. 박근혜 당선인의 대북정책 기조에 따라선 관계개선도 가능하다는 간접 메시지로 해석된다.
박 당선인은 대선 기간에 유연한 대북정책을 공약하면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남북 사이의 기존 공동선언에 대해서는 그 정신은 존중하면서 세부 사항은 현실에 맞게 조정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박 당선인은 그러나 천안함 사건에 따른 5·24 조처와 금강산관광 중단 문제에 대해 “그냥 넘어갈 수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남북 모두 대화 가능성을 엿보면서도 힘겨루기를 하는 형국인 셈이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선 당장 5·24 조처 해제와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가 현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박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 북한의 사과를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삼기보다는 대화하면서 문제를 풀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만나서 대화하다 보면 해결책도 나오기 마련이다. 김 제1비서 역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핵실험을 하는 등의 해묵은 방식으로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기 어렵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인민을 먹여살리기 위해선 더욱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
남북이 힘겨루기를 하는 상황에선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물러서는 걸 기대해선 안 된다. 양쪽이 한걸음씩 물러서야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기존의 합의를 재확인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6·15 선언과 10·4 선언은 남북관계 발전의 초석이 담긴 정상 간 합의사항이다. 시대상황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면 그 합의 정신을 존중하는 데서 출발하는 게 필요하다.
새로 정권을 잡은 박 당선인이나 집권 2년차를 맞는 김 제1비서한테 올해는 남북관계를 변화시킬 기회의 시간이 될 것이다. 차근차근 신뢰를 쌓아나가는 길밖에 없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 두 정상이 만나 관계개선의 극적 물꼬를 틀 수 있는 때도 오지 말란 법이 없다.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대통령의 성공을 기대한다
■ 윤창중, 수석대변인→인수위대변인 ‘강등’
■ ‘불산 사고’ 늑장대응 부른 ‘부처간 떠넘기기’ 방치
■ 피죤회장 이번엔 ‘100억대 횡령 혐의’ 기소
■ [화보] 낸시랭 이번엔…레드카펫서 ‘꽈당’?
■ 김태희-비, 3개월째 열애중?
■ 손현주 22년만에 연기대상…수상소감 ‘뭉클’
■ 박근혜 대통령의 성공을 기대한다
■ 윤창중, 수석대변인→인수위대변인 ‘강등’
■ ‘불산 사고’ 늑장대응 부른 ‘부처간 떠넘기기’ 방치
■ 피죤회장 이번엔 ‘100억대 횡령 혐의’ 기소
■ [화보] 낸시랭 이번엔…레드카펫서 ‘꽈당’?
■ 김태희-비, 3개월째 열애중?
■ 손현주 22년만에 연기대상…수상소감 ‘뭉클’
이슈김정은의 북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