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한글날이 답답하다. 물론 한글이라는 문자의 과학성은 탁월하다. 간결함에서 오는 아름다움은 예술 분야에서도 입증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한국어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해방 전후의 언어민족주의에서 달라진 게 없다. 언제 병들지 모르는 연약한 존재로 언어를 보는 태도. 외부의 공격을 막고 내부 혼란을 응징하기 위해 법을 굳건히 지켜야 한다는 순결주의. 모든 사람에겐 말을 비틀거나 줄이거나 늘리거나 새로 만들어 쓸 권리가 있다. 말을 변경하는 권리야말로 구태의연한 말에 생기를 불어넣는 힘이다. 그래서 이런 한글날을 몽상한다. 한국어를 단수가 아닌 무한수로 대함으로써 단일성의 고삐를 풀어주는 날. 규범과 명령의 족쇄에서 일탈과 해방의 카니발. 계급, 나이, 성정체성, 지역, 국가 따위의 이유로 차별받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난만히 피어나는 날. 아이의 말놀이처럼 말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날. 굶주린 사람처럼 말에 대한 감각을 키우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좋겠다. 음식맛을 백 가지 다르게 표현할 수 있으면 좋겠다. 돌아가신 어머니를 밤새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많아지면 좋겠다. 뼈를 깎는 개혁안을 내놓으라고 했더니 손톱을 깎았다’는 신박한 문장을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한 달에 한 권 정도 책을 읽고 지인들 앞에서 한두 문장을 써먹을 수 있으면 좋겠다. 여기저기 붙어 있는 ‘금지’와 ‘배제’의 안내판을 포용과 환대의 언어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면 좋겠다. 마치 외국어를 대하듯, 귀를 쫑긋하며 듣게 되는 말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자신의 문체와 말투를 열망하는 한글날이 되시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