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이제 다신 못 보낼 ‘전보’…마지막 한 통 보내볼까

등록 2024-01-11 14:30

138년 동안 유지되던 전보 서비스는 지난 12월15일 공식 종료되었지만, 설 연휴가 포함된 오는 2월까지 한시적으로 연장한다. 연합뉴스

[말글살이]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지난달 서울 사는 준하는 할머니께 전보를 치기로 마음을 먹었다.

“이번 생신 때 찾아뵙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대신 이렇게 전보로 마음을 남깁니다. 할머니께 편지를 쓰는 건 처음인 것 같습니다. 할머니께 업혀 놀던 기억이 아직까지 새록새록 합니다. 저는 할머니의 인생 중 2할도 못 채울 만큼 어리지만 지금까지 얼마나 힘드셨을까요? (중략) 생신 축하드립니다. 너무 늦게 연락드려 죄송해요.”

어떤 수단으로 소식을 전하느냐에 따라 받는 사람이 느끼는 감동은 하늘과 땅 차이. 전보를 받은 박남주 할머니는 좋아서 펑펑 우셨다고 하더라.

결혼식 사회자가 축전(축하전보)을 소개하거나 영결식장에서 조전(조문전보)을 읽어주기도 하지만, 이제 전보를 칠 일은 거의 없다. 지금은 기다림을 상실한 시대. 생각나자마자 문자를 보낼 수 있는데 굳이 하루 이틀은 걸리는 전보를 칠 이유가 없지. 문자메시지는 자동 반응 기계. 바로 읽고 바로 답해야 한다. ‘읽씹’(읽고 답하지 않기)을 당하면 삐지기 일쑤.

전화가 보급되기 전에 급한 소식을 전하는 수단은 전보였다. 글자 수에 따라 값을 매기기 때문에 돈을 아끼려고 길이를 최대한 줄였다. ‘조부위독급래’(할아버지께서 위독하시니 빨리 오라) 식의 전보식 문장이 흔히 쓰였다. 138년 동안 유지되던 전보 서비스가 지난 12월15일 종료되었다. 그사이에 흥이 넘치는 젊은이들이 전보 치기 놀이를 즐겼다고 한다. 못내 아쉬운 사람들을 위해서인지는 모르지만, 2월 말까지 서비스를 연장한다고 하니 놀이 삼아 전보를 쳐 보시라. 글자 수도 늘어 전화로 신청하면 50자, 인터넷으로는 150자까지 가능하다. 내 마음이 상대방에게 가닿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걸 경험하는 마지막 기회일지 모른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특활비·예비비 공개·축소하고, 여야 예산안 합의하라 1.

[사설] 특활비·예비비 공개·축소하고, 여야 예산안 합의하라

비루한 한동훈의 소심한 줄타기 [뉴스룸에서] 2.

비루한 한동훈의 소심한 줄타기 [뉴스룸에서]

2천명 급식 챙기다 온갖 수술...그래도 내게 ‘밥 냄새’ 났으면 3.

2천명 급식 챙기다 온갖 수술...그래도 내게 ‘밥 냄새’ 났으면

작은 실수에 잡아먹힌 사람 [이명석의 어차피 혼잔데] 4.

작은 실수에 잡아먹힌 사람 [이명석의 어차피 혼잔데]

윤, 거부권 언제까지?…국정 쇄신하겠다는 대통령에게 묻는다 5.

윤, 거부권 언제까지?…국정 쇄신하겠다는 대통령에게 묻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