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일을 통해 삶을 유지하고, 여기서 생긴 여유와 축적을 바탕으로 문화를 일군다. 이렇게 삶을 유지하기 위해 힘을 쏟아 활동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노동’이라고 한다. 사람은 노동을 통해 재화를 생산하며, 소비를 통해 휴식을 하면서 힘을 다시 채워 넣는다.
이 노동을, 주어진 일자리에서 일정한 조건과 계약에 따라 품을 팔아 일하면 보통 ‘근로’라고 일컫는다. 대개 ‘근로소득세’를 내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다 보니 농민과 주부들은 누구보다 열심히 일을 하는데도 도무지 ‘근로’의 범주에 쉽게 포착되지 않는다. 근로라는 말은 일정한 고용 조건을 전제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5월1일은 국제적으로 ‘노동절’(혹은 메이데이)이다. 착취당하기 쉽고, 배움의 기회를 놓치기 쉬우며, 경제 위기에 쉽게 상처받고, 가족의 안정이 쉽게 흔들리는 노동자 집단이 국제적으로 서로 연대하며 함께 단결을 다지는 날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날을 굳이 ‘근로자의 날’이라 달리 부른다. 한때는 미국처럼 날짜도 달리했다. 노동자들의 유대를 못마땅해하던 지난날의 폐습이다.
우리는 국제적으로 알려진 개념을 말할 때는 툭하면 ‘글로벌 스탠더드’라는 말을 내세운다. 그런 시각에서 본다면 ‘노동절’이라는 단어야말로 가장 널리 알려진 국제 표준어에 가깝다. 고용계약서가 있건 없건, 근로소득세를 내건 말건, 소득의 높고 낮음을 떠나 우리가 매일매일 공들이는 노동의 가치와 의미를 1년에 단 하루만이라도 제대로 되돌아보자. 세상의 온갖 가치와 의미는 누군가의 노동에서 비롯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