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북한과 미국이 연출하는 세기적인 만남의 자리 때문에 선거도 월드컵 경기도 관심에서 밀려난다고 푸념이다. 그러나 지나간 70년 동안의 냉전을 녹여 버릴지도 모른다는 마음 설렘을 지방 권력 재편이나 축구 열기가 밀어내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더구나 모든 과정이 순탄할지 혹시 또 삐걱대지나 않을지 조마조마한 면도 적지 않아 늘 텔레비전 뉴스에 시선을 고정하게 된다. 이럴 때일수록 앞으로 북-미 관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지, 그 방향이 미국과 한국의 여러 정파나 이익 집단들의 이해관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근근이 살아가는 남과 북의 서민 대중들이 입을 수 있는 혜택과 짊어져야 하는 부담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전문적이고 다양한 논평을 제공하는 것이 제대로 된 보도 매체의 임무일 것이다. 그런데 기대와 달리 대개의 보도는 주변적인 호기심, 또는 알아도 몰라도 그저 그런 주변적 담론만 되풀이하고 있다. 북측의 전용기가 싱가포르까지 한번에 갈 수 있는지 없는지는 북이 걱정할 문제이지 우리가 이러쿵저러쿵할 문제가 아니다. 또 호텔비를 누가 내는지도 회의의 핵심 내용과 동떨어진 문제에 불과할 뿐이다. 같은 경호 문제를 언급하면서도 마치 북측 정상의 신변이 유난히 예민하다는 듯이 촐싹거리는 것 자체가 시청자들로 하여금 기울어진 선입관을 가지고 이 세기적 행사에 임하게 만드는 ‘선동’ 같아 보인다. 언론의 자유는 어떠한 신념이든지 거리낌없이 말할 수 있고, 세상 돌아가는 사정을 정확하게 알게 하는 것이 목적이지 넘쳐나는 쪼잔한 정보를 산더미처럼 쌓아놓는 것이 그 본업이 아니다. 이런 것의 대부분은 허접한 과잉 정보에 지나지 않는다. 보도 매체는 시시한 정보를 치워 버리고 중요한 알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다함으로써 이 중요한 시대의 행사를 감당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