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남과 북의 만남이 있을 만하면 서로 언어가 달라졌을 텐데 어쩌나 하는 말들이 많아진다. 워낙 오랫동안 분단되어 있었으니 걱정을 겸해 하는 말들이다. 사실 북쪽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좀 어색하거나 ‘티’가 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보면 우리 역시 어느 방언 지역 출신이나 국외 동포들의 말에서 느끼는 약간의 어색함만 가지고 언어가 달라졌다고까지는 하지 않는다. 말한 사람의 특이한 말버릇이 아닌가 하는 정도의 느낌도 든다. 그러면서 북에서 쓰는 말을 가지고는 유독 예민하게 무언가 ‘이질감’을 느낀다. 북한의 말에서 이질감을 강하게 하는 것은 일상 어휘가 아닌 사회정치적 표현들이다.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라든지, 예비군에 해당하는 ‘로농적위군’이라든지, 국방부와 같은 개념인 ‘인민무력부’, 사회주의 농업 단위인 ‘협동농장’ 등은 마치 완전히 딴 세상을 가리키는 말처럼 들려 생소하기 짝이 없다. 반면에 일상어는 그리 큰 차이가 없다. 옛날의 평안도 방언은 서울말과 차이가 많았지만 이미 20세기 초부터 평양을 중심으로 중부 방언과 합류를 했기 때문에 ‘이질화’라는 말은 그리 적절치 않다. 그러나 종종 두메산골의 강한 사투리가 혼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1990년대 초 북의 한 인사가 남쪽의 기자에게 “집에 인간이 몇이오?”라고 물어서 “북한은 이제 유물론 사상에 젖어 가족도 인간이라 부른다”는 오보를 내기도 했다. 북한의 방언학 서적에는 “아직도 평안북도 산골에서는 ‘식구’를 ‘인간’(잉간)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는 구절이 나온다. 유물론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낯설어진 관계가 더 문제였을 뿐이다. 좀 더 자주 만나고 함께 문제를 풀어가다 보면 이 모든 것이 지난날의 ‘추억의 말실수’로 기억되는 ‘좋은 날’이 오지 않을까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