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들 자신이 다녔던 학교를 명문이라 일컫는다고 질색하랴? 모교가 유명해지면 공부와는 담을 쌓았던 졸업생들도 괜히 으쓱해질 것이다. 또 명문으로 이름난 학교 졸업생들은 취업 과정에서 얻는 이익도 상당할 것이다. 명문이라는 평판은 개인적으로도 대단히 큰 자산이지만 사회적으로도 큰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심스럽게 돌이켜 생각해 보자. 한국 사회의 명문은 과연 무엇인가? 한국의 명문은 순위가 바뀌지도 않고 새로운 명문의 탄생도 거의 불가능하다. 한번 명문으로 꼽히면 다시는 주저앉지 않는다. 한 대학이 명문이라는 말을 들으면 모든 학과가 명문 대우를 받는다. 심지어 신설 학과나 부속기관까지도. 공정한 경쟁의 산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명문의 의미는 사실상 기득권을 뜻한다. 그렇기에 명문이라는 소문이 중요하지 그 내실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일단 한 학교 출신을 많이 채용하면 내부의 위계질서를 통해 후배들은 선배들한테 충성을 바치며 성과가 빨리 나타난다. 그런 식으로 특정 학교 출신을 많이 채용하면 그들은 더 이상 공적 조직이 아니라 사적 조직이 될 위험성이 더 커진다. 최고경영자가 동문일 경우는 더 심각하다.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의 원인이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은가?
학교 차이에 대한 세평은 믿을 게 못 된다. 졸업생들의 활동이 ‘지금’ ‘현장에서’ 얼마나 공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분명한 공적인 잣대에 의해서 명문이라는 명예를 허락해야 한다. 그래서 그 명예가 떠도는 소문 덕이 아니라 학교 구성원들의 절차탁마의 산물이자 공적인 평가의 결과여야 한다.
그래서 이제는 기술의 명문, 예술의 명문, 사회봉사의 명문, 공동체의 선구자를 배출한 명문 등의 다양한 명문들을 기대해 본다. 명문이라는 단어는 그 아름다운 이름에 몹시도 고약한 기능을 해왔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