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방언 분투기 / 김하수

등록 2015-08-02 18:47수정 2015-08-03 08:47

우리가 표준어로 인정하는 어휘 가운데서는 한때 방언에 속했거나 방언으로 다루던 것들이 들어 있다. 한때는 ‘빈자떡’이 표준이었고 ‘빈대떡’은 방언으로 다루어졌었지만 이제는 그 신세가 서로 뒤바뀌었다. ‘멍게’도 방언이었고 그 표준어는 ‘우렁쉥이’였지만 이제는 누구 하나 그 옛날의 당당했던 표준어를 기억하지 못한다. 애당초 표준어를 정하면서 무리한 결정을 내린 경우도 있었지만, 대개는 그 이후의 사회 변화가 어휘의 지위를 변화시켰다.

제일 큰 사회 변화는 표준어의 주요 조건인 ‘서울말’의 사용 주체였던 토착 서울 사람들의 인구 비율이 급격히 줄어든 것이다. 그리고는 수많은 지방 사람들과 뒤섞여 버렸다. 그렇다고 해서 서울에서 사용되는 말이 ‘방언 범벅’이 된 것은 아니다. 일정한 ‘서울말다움’은 유지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러는 가운데 원래 서울말 ‘가리구이’는 어느덧 ‘갈비구이’가 되어 버렸다.

아무리 서울 중심의 발전을 했다고는 하지만 지방이 항상 변두리 역할만 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서울 사람들의 귀에도 꽤 익은 방언도 생겨났다. 아마 얼마 있으면 그게 방언인지 표준어인지 헛갈리게 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가장 최근에 대박을 터뜨린 방언은 단연 제주 방언 ‘올레’일 것이다. 엄밀히 본다면 이 단어는 아직도 방언의 신분이다. 그러나 누구든지 그 어휘의 보편성과 그 의미의 호소력을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너도나도 ‘올레길’이라는 말을 당겨쓰고 있다. 또 텔레비전의 연예 프로가 방언을 살려 주기도 한다. 최근에 등장한 ‘꽃할배’가 이끌어낸 인기는 ‘할배’를 방언이라기보다는 ‘할아버지의 애칭’ 정도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어휘의 지위를 변화시키는 사회 변화는 저 높은 곳보다는 우리의 주변에서, 시시해 보이는 일상생활에서 먼저 일어난다. 전문가들이 아닌 보통사람들이 언어 변화의 주력부대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내란 수사 대상자’ 서울경찰청장 발령 강행한 최상목 1.

[사설] ‘내란 수사 대상자’ 서울경찰청장 발령 강행한 최상목

[사설] ‘내란 음모론’ 힘 싣는 국힘, 그러면 계엄이 없던 일 되나 2.

[사설] ‘내란 음모론’ 힘 싣는 국힘, 그러면 계엄이 없던 일 되나

대선 앞 ‘우클릭’ 이재명의 실용주의가 놓친 것 [아침햇발] 3.

대선 앞 ‘우클릭’ 이재명의 실용주의가 놓친 것 [아침햇발]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4.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사설] 이번엔 헌재 습격 모의, 끝까지 파헤쳐 뿌리 뽑아야 5.

[사설] 이번엔 헌재 습격 모의, 끝까지 파헤쳐 뿌리 뽑아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