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입학 연도를 가리키는 ‘학번’이라는 말은 대학 졸업자들에게는 출신 학교의 이름과 함께 하나의 중요한 정체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동문들 사이의 위계질서를 보여 주기도 한다. 오래전에는 쓰이지 않던 말이다. 40여 년 전만 해도 대학에 늦게 진학하는 사람도 많아서 동급생들끼리도 나이 차이를 중요시했다. 그러다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쯤에 널리 번졌다.
누구나 학교에 입학하면 으레 그 햇수가 있기 마련이니만큼 그것을 가리키는 용어가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런데 그 용어가 공식적인 신문 보도에도 버젓이 사용되고, 저명인사들의 프로필에도 함께 등장하는 말이 된다면 그 의미와 기능을 한번 곰곰이 되씹어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학번이라는 말은 대학 졸업자들에게만 해당되는 용어이다. 그렇기에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배제’하는 용법을 가지고 있어서 일반 공직자를 설명하는 공식 용어로는 사려 깊지 못한 말이다. 대학을 다니지 않았거나 검정시험 출신자들에게는 개념이 잘 들어맞지도 않는다. 또 학제가 다른 외국에서 자란 사람들에게도 사용하기가 아주 불편하다. 학사편입이나 복학을 한 사람들은 두 개의 학번에 연고가 생긴다. 그리 유용하거나 정확한 개념이 아니다.
물론 학번이라는 말은 대학 졸업자들 사이에서, 특히 같은 학과 출신들끼리 동문의 안부를 주고받을 때는 그런대로 유용한 말이다. 따라서 매우 사적인 용도로만 제한되는 것이 옳다.
마치 누구네 집 몇 번째 자식이냐는 말이 가족이나 친척들 사이에서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공식적인 인물 정보에서는 불필요한 요소이듯이, 또 이력서에서 개인 증명사진이 인사 결정 과정에서 오히려 용모에 대한 선입관만 주기 쉽듯이, ‘학번’이라는 용어를 공식 보도나 문서에 사용하는 것은 올바르지 못한 공적인 판단을 불러올 수 있다. 이제는 공적 소통 과정에서 지워 버리는 게 마땅한 사사로운 표현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