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언어와 민주주의 / 김하수

등록 2015-06-28 19:06수정 2015-06-28 19:06

언어로 사회를 민주화할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의 꿈이었다. 그래서 더 의로운 표현을 하기도 하고 기존의 어휘를 새롭게 혁신하기도 했다. 영어에서도 양성 평등 운동에서 여러 가지의 언어적 실험과 혁신이 일어났다. 우리 한국어에서도 그리 활발한 것은 아니었지만 몇 가지 시도를 한 일이 있다.

1987년 이 땅에 본격적인 민주 헌법을 마련하고 새로운 제도의 정착을 위해 노력하던 시절, 그해 여름에 큰 수해가 났다. 수해 복구를 위해 나선 주민들과 군인 및 공무원들의 노력을 보도하면서 우리 귀에 익숙하던 ‘군관민’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민관군’이라고 고쳐 표현했다. 순서가 완전히 거꾸로 되는 것이니 무언가 어색했다. 그러나 이런 경험은 우리의 언어적 민주화 과정을 반영하는 증거물이기도 했다.

돌이켜보면 표현의 순서만 그럴듯하게 바꿔놓았을 뿐이지 그 이상의 노력이나 지속적인 자기 갱신 노력은 별로 없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민주주의의 퇴행 현상만이 여기저기서 목격될 뿐이다. 깊은 고민 없이 이 말을 대충대충 써온 것이다.

최근에 정치권에서 몇 가지 갈등이 생기면서 ‘당정청’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순서도 어찌 보면 대단히 민주적인 서열을 보여준다. 정당이 우선이고 그다음이 정부, 그리고 맨 나중이 청와대란 뜻이니 얼마나 반권위주의적이며 얼마나 바람직한 정당정치의 구현인가! 그러나 말의 순서만 그럴 뿐이지 실제로 되어 가는 모양은 완전히 거꾸로가 아닌가?

말을 뜯어고쳐 사회 혁신에 기여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행동이 따라야 한다. 언어는 뜻을 드러내는 기능만이 아니라 무언가를 실천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말 순서만 그럴듯하게 바꾸어 놓고 구체적인 실천이 따르지 않는다면 언어는 위선과 궤변의 도구밖에 되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민주적인 언어는 민주적인 실천을 필요로 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내란 수사 대상자’ 서울경찰청장 발령 강행한 최상목 1.

[사설] ‘내란 수사 대상자’ 서울경찰청장 발령 강행한 최상목

[사설] ‘내란 음모론’ 힘 싣는 국힘, 그러면 계엄이 없던 일 되나 2.

[사설] ‘내란 음모론’ 힘 싣는 국힘, 그러면 계엄이 없던 일 되나

대선 앞 ‘우클릭’ 이재명의 실용주의가 놓친 것 [아침햇발] 3.

대선 앞 ‘우클릭’ 이재명의 실용주의가 놓친 것 [아침햇발]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4.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사설] 이번엔 헌재 습격 모의, 끝까지 파헤쳐 뿌리 뽑아야 5.

[사설] 이번엔 헌재 습격 모의, 끝까지 파헤쳐 뿌리 뽑아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