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고 적음을 알게 하는 ‘양의 세계’는 숫자나 수관형사 그리고 수량단위의 결합으로 나타낸다. 수량단위는 보통사람들이 설명을 들어도 잘 모를 전문적인 단위들도 있지만 반대로 일상생활에서 긴요하게 쓰이는 단위들도 퍽 많다. 가장 흔한 것이 아마 개수를 일컫는 ‘개’일 것이다. 그리고 사람을 세는 ‘명’과 ‘사람’, 동물을 세는 ‘마리’, 장소를 세는 ‘군데’, 책을 세는 ‘권’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언제부터인지 이 수량단위가 점점 단순해지고 있다. 책을 ‘한 개, 두 개’ 하며 세는 것도 퍽 흔해졌고, 식당에서 “맥주 다섯 개요?” 하고 되묻는데 아무도 이상해하는 것 같지가 않다. “쟤네 집에는 차가 세 개나 있대”라는 말도 퍽 흔히 듣는다. 그러다 보니 “잠시만요, 담배 한 개 사올게요”에서의 ‘개’와 “하루에 담배를 스무 개나 피워요?”에서의 ‘개’가 서로 다른 것을 가리키고 있다. 수량과 관련된 정보 교환이 점점 성글어지고 있는 셈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못 알아듣는 것은 아니다.
이와 함께 수량단위와 함께 쓰이는 수관형사 ‘한, 두, 서(석), 너(넉) …’에서도 ‘서(석)’와 ‘너(넉)’를 들어보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이미 장년층에서조차 ‘종이 석 장’과 ‘볼펜 넉 자루’를 각각 ‘세 장’과 ‘네 자루’라고 말한다. 볼펜은 아예 ‘네 개’라고 하는 표현이 더 많다. 흥미로운 것은 이렇게 해도 그 불편함이나 어색함을 호소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어느새 대세가 되어 버린 느낌이다.
오래된 언어는 장구한 세월 유지해온 정교한 틀이 있다. 거추장스러워 보이면서도 언어의 완결성과 자기다움을 보여주던 장치였다. 삶의 속도와 효율성 추구는 이러한 불필요한 듯하면서도 자기답게 만들어주던 장치와 장식을 용서 없이 팽개치고 있다. 의미와 용법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한, 편리함과 간결함을 기준으로 언어의 모습을 거침없이 탈바꿈시키고 있다. 언어도 일회용 소모품이 되어 가는 느낌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