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마마잃은중천공? / 강재형

등록 2015-04-12 19:05수정 2015-04-13 16:06

“‘일해라 절해라’, ‘마마 잃은 중천공’, ‘골이 따분한’ 친구 대신 멘토로 ‘삶기 좋은’ 선배를 만나라. 엄마의 잔소리는 오늘도 빠지지 않는다. 친구까지 들먹이는 건 ‘어면한’ ‘사생활 치매’다. ‘더우기’ ‘일해라’ 하는 건 이해하겠는데 절까지 하라니, 알랑거리며 살라는 건지 헷갈린다. 근데, 마마(엄마)를 잃은 중천공은 누구지? 옛날 양반 같은데, 인터넷에 물어봐도 답해주는 사람이 없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놀라운 맞춤법 모음’의 보기를 엮어 꾸며낸 글이다. ‘이래라저래라’, ‘남아일언중천금’, ‘고리타분한’, ‘삼기 좋은’, ‘엄연한’, ‘사생활 침해’, ‘더욱이’를 들리는 대로 옮긴 데서 나온 잘못이다. 이러한 예는 참으로 많다. ‘미모가 일치얼짱(일취월장)’, ‘나물할 때(나무랄 데) 없는 맛며느리(맏-)’, ‘삶과(삼가) 고인의 명복을’, ‘오랄을(오라를) 받아라’, ‘시험시험’(쉬엄쉬엄), ‘장례희망’(장래희망), ‘눈을 부랄이다(부라리다)’, ‘문안하다’(무난하다), ‘설흔(서른) 즈음에’, ‘곱셈(꽃샘)추위’….

설마, 정말 모르고 쓰는 걸까 싶은 생각이 앞서지만 현실은 엄연하다. ‘우리말나들이’에서 ‘복불복’(福不福, 사람의 운수를 이르는 표현)을 다룬 적이 있다. ‘볼걸복/복궐복/볶을복/복골복’으로 잘못 쓰는 사람이 많다는 후배 아나운서의 주장이 강했기 때문이다. ‘사이먼과 가펑클’(Simon & Garfunkel)을 ‘사이먼과 펑클’로 알고 있던 군대 동기를 만난 적도 있다. 제 딴에 들리는 대로 써서 생긴 잘못이다. 뜻만 통하면 되는 것 아닌가? 맞다. 제대로, 잘 통하게 하기 위해 맞춤법이 존재한다. 한글맞춤법 제1항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내세운다.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은, 뜻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각 형태소의 본 모양을 밝히어 적는다는 말이다. ‘꼰노리’, ‘꼳밭’이 아닌 ‘꽃놀이’, ‘꽃밭’이 가독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강재형 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상 검증’, ‘연좌제’ 시대로 돌아갔는가? [권태호 칼럼] 1.

‘사상 검증’, ‘연좌제’ 시대로 돌아갔는가? [권태호 칼럼]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2.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사설] 윤석열 접견한 권영세·권성동, ‘내란 수괴' 들러리 원하나 3.

[사설] 윤석열 접견한 권영세·권성동, ‘내란 수괴' 들러리 원하나

[사설] 이재명표 실용이 ‘주 52시간’ 완화로 이어져선 안 된다 4.

[사설] 이재명표 실용이 ‘주 52시간’ 완화로 이어져선 안 된다

나의 완벽한 상사 [세상읽기] 5.

나의 완벽한 상사 [세상읽기]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