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오징어 2 / 강재형

등록 2015-03-22 18:55

갑오징어, 건오징어, 마른오징어, 물오징어, 뼈오징어, 일본오징어, 오징어, 참오징어, 한치오징어, 화살오징어.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른 ‘오징어족’이다. 갑오징어(뼈-, 참-), 마른오징어(건-), 생것을 가리키는 물오징어와 이를 두루 이르는 오징어를 빼면 달랑 다섯 종류뿐이다. 입술무늬갑오징어, 흰오징어, 창오징어, 화살오징어, 참갑오징어, 살오징어, 빨강오징어, 날개오징어, 지느러미오징어, 쇠오징어, 좀귀오징어…. 사전 밖, 바닷가의 오징어 명칭은 참으로 많다. 이 가운데 갑오징어 종류가 아닌 것들은 옛날에 ‘-꼴뚜기’라 불렸던 것들이다.

옛 문헌에 나오는 오징어(烏賊魚, 오적어)는 지금의 갑오징어를 가리킨다. ‘요즘 오징어’는 뭐라 했을까. “모양은 오적어(지금의 갑오징어)와 닮았지만 몸은 더 길고 날씬하다. 등에 타원형이 아닌 종잇장처럼 얇은 뼈만 있으며, 이것을 등뼈로 삼는다. 선비들이 바다에서 나는 귀중한 고기라 하여 ‘고록어’(高祿魚)라고 불렸다.” <자산어보>(현산어보)에 나오는 설명은 오징어를 묘사한다. 고록어는 꼴뚜기의 옛말이다. 꼴뚜기가 곧 오징어인 것이다. 현대 생물학 사전 여럿은 오징어를 여전히 ‘피둥어꼴뚜기’로 설명한다. ‘흰꼴뚜기’, ‘창꼴뚜기’, ‘화살꼴뚜기’, ‘반원니꼴뚜기’ 따위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분류한 오징어 종류의 명칭이지만 국어사전에는 나오지 않는다.

남한의 갑오징어가 북한에 가면 오징어가 되고, 남한의 오징어를 북한에선 낙지라 한다. 남도의 낙지를 북에서는 서해낙지라 한다. 오징어가 옛날엔 꼴뚜기 종류를 이르는 말이었고 오적어는 갑오징어를 가리켰다. ‘참갑오징어가 오징어라는 이름을 피둥어꼴뚜기에게 넘긴 때는 대략 1930년 무렵이었다. 수산업에서 일본식으로 용어가 통일되어가는 과정 중에 일어난 일’이라는 설이 있지만 바뀐 시기와 이유는 오리무중이다. 1923년에 ‘울릉도 오징어’, 1927년에 ‘전북 고창의 오징어(갑오징어)’가 신문에 등장하는 등 갈피를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강재형 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내란 수사 대상자’ 서울경찰청장 발령 강행한 최상목 1.

[사설] ‘내란 수사 대상자’ 서울경찰청장 발령 강행한 최상목

[사설] ‘내란 음모론’ 힘 싣는 국힘, 그러면 계엄이 없던 일 되나 2.

[사설] ‘내란 음모론’ 힘 싣는 국힘, 그러면 계엄이 없던 일 되나

대선 앞 ‘우클릭’ 이재명의 실용주의가 놓친 것 [아침햇발] 3.

대선 앞 ‘우클릭’ 이재명의 실용주의가 놓친 것 [아침햇발]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4.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사설] 이번엔 헌재 습격 모의, 끝까지 파헤쳐 뿌리 뽑아야 5.

[사설] 이번엔 헌재 습격 모의, 끝까지 파헤쳐 뿌리 뽑아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