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녘의 오징어가 북녘에 가면 낙지가 된다. 남녘의 낙지를 북에서는 서해낙지라 한다. 북한의 오징어는 남한의 갑오징어이다.’ 남북한 언어 이질화를 다룬 자료는 물론 언론을 통해서도 제법 알려진 사실이다. 북한에서 1965년에 발행한 5전짜리, 2000년에 나온 1원50전짜리 ‘낙지 우표’는 ‘남북한이 달리 부르는 오징어’를 확인해 주는 증거이다. “개성에 가서 ‘마른 낙지’를 사왔다. 분명 ‘마른 오징어’였다”, “금강산에 가보니 오징어를 낙지라 하더라”는 북한어 연구자의 증언도 이를 뒷받침한다.
광복 직후 문세영이 엮은 <수정증보 조선어사전>(1946년)의 오징어는 ‘몸은 작은 주머니 같고 열 개의 발이 있으며 등 속의 작은 뼈 같은 흰 물건이 있는 해산동물’이다. 북한 사회과학출판사가 펴낸 <조선말대사전>(2006년)의 설명 ‘(낙지) 몸은 원통 모양이고 머리부 량쪽에 발달한 눈이 있다. 다리는 여덟 개인데…’는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오징어(북한의 낙지) 다리가 8개? ‘2개의 촉완(觸腕)과 8개의 다리가 있고…’(두산백과)를 참고하니 의문이 풀렸다. 먹이를 잡거나 교미할 때 쓰는 양쪽으로 길게 달린 두 개를 발로 셈하지 않은 것이다.
옛 문헌의 오징어(오적어, 烏賊魚)는 지금의 갑오징어를 가리킨다. ‘(오징어) 뼈는 두께가 3~4푼 되고 작은 배와 비슷하며 가볍고 약하다’(동의보감, 1610년), ‘등에는 기다란 타원형의 뼈가 있다’(자산어보(현산어보), 1814년), ‘오징어 뼈를 우물 가운데 담그면 잡벌레가 다 죽는다’(규합총서, 1809년)에 등장하는 오징어는 하나같이 지금의 갑오징어(참오징어)를 일컫는다. ‘군산 죽도 어장에서 많이 잡히는 것은… 민어, 오적어 등이니…’(황성신문, 1903년)에서처럼 구한말 신문에 나오는 ‘오적어’도 갑오징어이다. 죽도에서는 지금도 갑오징어가 잘 잡힌다. 오징어는 원래 갑오징어였고, 북한에서는 지금도 갑오징어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오징어라 부르는 것은 옛날엔 뭐였을까.
강재형 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