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모호하다

등록 2023-07-20 18:58수정 2023-07-21 02:36

[말글살이]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똑 부러지게 말하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흥, 어느 누구도 똑 부러지게 말할 수 없다오. 말의 가장 큰 특징은 모호하다는 것. 정확한 말은 없다. 예컨대, ‘청년’이라는 말은 모호하다. 물론 10살 어린이나 60살 먹은 사람을 청년이라 하지는 않는다. 스무살인 사람은 청년이 분명하다. 하지만 열아홉살은 어떤가. 마흔살은? 국어사전에 따르면 ‘서른살에서 마흔살 안팎의 나이’를 ‘장년’이라고 정의하던데, 그렇다면 청년은 스무살부터 서른살까지? 서른한살은 청년이 아닌가?

모호성은 ‘무지’(모른다)와는 다르다. 다른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 말할 수 없다는 것은 아직 생명체의 존재를 보여줄 증거를 찾지 못했다는 뜻일 뿐이다. 생명체가 확인되면 무지는 해결된다. 하지만 ‘청년’에 대해 뭔가를 밝혀본들 모호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장년에 비해 악력이 더 세다거나 뱃살의 두께가 얇다거나 피가 더 뜨겁다는 게 밝혀진다고 해서 ‘청년’이란 말의 모호성이 해소되는 건 아니다.

‘구체성의 결여’와도 다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양쪽이 노력하기로 했다’는 식의 말이 갖는 문제는 모호성 때문이 아니라 구체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두루뭉술하게 얼버무리지 말고 어떤 노력을 기울일지 조목조목 밝히면 문제가 실질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모호하다’는 말은 명확한 경계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말은 불분명하고 막연하다. 어디까지가 ‘종아리’이고 어디부터 ‘발목’이 시작되는지 분명하지 않다. 영하 몇도여야 “춥다”고 할 수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말의 의미를 확정 지을 수 없다는 특성이야말로 말의 본질이다. 무슨 수를 써도 말의 모호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말의 모호성을 밑천으로 굴러가는 인간세상이 헐겁고 시끄러운 건 당연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이러다 다음 전쟁터는 한반도가 된다 [아침햇발] 1.

이러다 다음 전쟁터는 한반도가 된다 [아침햇발]

다시 전쟁이 나면 두 번째 세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연철 칼럼] 2.

다시 전쟁이 나면 두 번째 세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연철 칼럼]

[사설] 국책사업·이권 개입으로 번지는 ‘명태균 의혹’ 3.

[사설] 국책사업·이권 개입으로 번지는 ‘명태균 의혹’

중의원 선거에 나타난 민의 [세계의 창] 4.

중의원 선거에 나타난 민의 [세계의 창]

1965년 박정희, 2024년 김정은 [유레카] 5.

1965년 박정희, 2024년 김정은 [유레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