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의 경제]
일본에는 생활협동조합이 취급하는 공제가 매우 발달해 있다. 일본공제협회에 따르면, 2010년 3월 말 현재 일본의 공제단체는 6921곳, 가입 조합원은 7309만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생협 계열의 공제 계약 건수는 8728만건으로 전체 공제계약 1억5320만건의 57%를 차지한다. 일본에선 세 가구 가운데 한 가구(28.8%)가 생협 공제에 가입해 있다.
공제가 인기를 끄는 것은 보험사라면 사업비나 주주의 이익으로 돌아갈 몫이 조합원에게 대부분 돌아온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생명보험회사들은 보험료 수입 가운데 30%가량을 보험금으로 지급한다.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돈은 14%가량이다. 이 둘을 합해 44%가 가입자에게 돌아가는 몫이다. 보험료 수입의 25%가량은 인건비 등 사업비로 쓴다. 그리고 31%는 내부에 유보해, 자산으로 축적한다.
반면, 현민공제는 2009년 기준으로 공제부금의 55.8%(전국 평균)를 공제금으로 지급했다. 보험의 배당금에 해당하는 할려금(공제금 지출에 견줘 공제부금 수입이 많을 때, 가입자들에게 그 일부를 돌려주는 돈)으로는 26.7%를 지급했다. 따라서 82.5%가 가입자에게 돌아갔다. 사업비는 13.3%에 그쳤고, 내부 유보 비율은 4.2%였다.
요약하면, 민간생명보험 가입자가 100을 내고 44밖에 돌려받지 못하는 데 견줘, 현민공제는 낸 돈의 82.5를 돌려받는다. 똑같은 보장을 받는 데 드는 부담이 공제가 민간 보험의 절반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역사가 가장 오래된 사이타마현민공제의 사업 운영은 거의 ‘신기’에 가깝다. 공제부금 수입 가운데 60.9%를 공제금으로 지급하고, 할려금으로 36.1%를 지급한다. 이렇게 97%를 가입자에게 돌려주고 사업비 등으로 나가는 지출은 3%에 불과하다. 이는 가입자 수가 아주 많아 조합원 한 사람이 지는 사업비 부담이 더욱 적기 때문이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